AG Choijeongho Minburi RegularAG Superblack Gothic RegularAGmyrrh2015 CubicAGmyrrh2015 LineAGmyrrh2015 MazeAGmyrrh2015 OpenAGmyrrh2015 RegularAGmyrrh2015 SolidAGleesang2013 BoldAGleesang2013 ExtraBoldAGleesang2013 ExtraLightAGleesang2013 LightAGleesang2013 MediumAG Choijeongho Std. RegularAG Hunminjeongeum RegularAG Mano 2014 ExtraLightAG Mano 2014 LightAG Mano 2014 MediumAG Mano 2014 BoldAG Mano 2014 ExtraBoldAG Ahnsangsoo 2012 BoldAG Ahnsangsoo 2012 MediumAG Ahnsangsoo 2012 ExtraBoldAG Ahnsangsoo 2012 LightAG Ahnsangsoo 2012 ExtraLightAG AhnsangsooRound ExtraLightAG AhnsangsooRound LightAG AhnsangsooRound MediumAG AhnsangsooRound BoldAG AhnsangsooRound ExtraBoldCheongjo MediumCheongweol RegularChoseol LightChoseol RegularGoyo LightGoyo RegularGoyo SemiboldGoyo ThinShinsegye RegularAG Namsangjun PlainAG Namsangjun StripedOptique Display BoldOptique Display RegularHongkaiti RegularMin Gothic RegularDunkel Sans CondensedDunkel Sans MediumDunkel Sans ExpandedArvana RegularArvana BlackSanuwha LightSanuwha RegularSanuwha BoldDunkel Sans Glatt CondensedDunkel Sans Glatt MediumDunkel Sans Glatt ExpandedSpring Snow RegularNormalBatang RegularAG Choijeongho Minburi MediumAG Choijeongho Minburi Bold310 Masil 10310 Masil 20310 Masil 30310 Masil 40310 Masil 50310 Masil 60310 Masil 70310 Masil 80310 U-haehae B310 U-haehae L310 Ahn Sam-yeol310 DoenBuri310 DoenGothic310 dong-dong B310 dong-dong L310 dong-dong M310 junginjaNohSoriPro BlackNohSoriPro BoldNohSoriPro ExtraBoldNohSoriPro MediumNohSoriPro RegularNohSoriPro SemiBoldMaru Buri LightMaru Buri ExtraLightMaru Buri RegularMaru Buri SemiBoldMaru Buri BoldParkMingyuChulaeOrtank Display BlackOrtank Display ThinOrtank Text Italic87MM ILSANG Regular87MM ILSANG ObliqueOrtank Display Black ItalicOrtank Display BoldOrtank Display Bold ItalicOrtank Display ExtraBoldOrtank Display ExtraBold ItalicOrtank Display ExtraLightOrtank Display ExtraLight ItalicOrtank Display ItalicOrtank Display LightOrtank Display Light ItalicOrtank Display MediumOrtank Display Medium ItalicOrtank Display RegularOrtank Display SemiBoldOrtank Display SemiBold ItalicOrtank Display Thin ItalicOrtank Text Black ItalicOrtank Text BlackOrtank Text BoldOrtank Text Bold ItalicOrtank Text ExtraBold ItalicOrtank Text ExtraBoldOrtank Text ExtraLight ItalicOrtank Text ExtraLight Ortank Text LightOrtank Text Light ItalicOrtank Text Medium ItalicOrtank Text MediumOrtank Text RegularOrtank Text SemiBold ItalicOrtank Text SemiBoldOrtank Text Thin ItalicOrtank Text ThinLemanic Text BlackLemanic Text Black ItalicLemanic Text BoldLemanic Text Bold ItalicLemanic Text BookLemanic Text Book ItalicLemanic Text ExtraBoldLemanic Text ExtraBold ItalicLemanic Text ItalicLemanic Text LightLemanic Text Light ItalicLemanic Text MediumLemanic Text Medium ItalicLemanic Text RegularLemanic Text SemiBoldLemanic Text SemiBold ItalicLemanic Text ThinLemanic Text Thin ItalicLemanic Display BlackLemanic Display Black ItalicLemanic Display BoldLemanic Display Bold ItalicLemanic Display BookLemanic Display Book ItalicLemanic Display ExtraBoldLemanic Display ExtraBold ItalicLemanic Display ItalicLemanic Display LightLemanic Display Light ItalicLemanic Display MediumLemanic Display Medium ItalicLemanic Display RegularLemanic Display SemiBoldLemanic Display SemiBold ItalicLemanic Display ThinLemanic Display Thin ItalicHappiness Sans RegularHappiness Sans BoldHappiness Sans TitleSnello BlackSnello BlackItalicSnello BoldSnello BoldItalicSnello SemiBoldSnello SemiBoldItalicSnello MediumSnello MediumItalicSnello RegularSnello RegularItalicSnello LightSnello LightItalicAG Ahnsangsoo Stripe BoldGiparan ThinGiparan ExtraLightGiparan LightGiparan RegularGiparan MediumGiparan SemiBoldGiparan BoldGiparan ExtraBoldGiparan BlackAG Ahnsangsoo Variable - Webfont Only310 Pu-hahahBlazefaceHangeulv0.6-12PointBlazefaceHangeulv0.6-14PointBlazefaceHangeulv0.6-16PointBlazefaceHangeulv0.6-18PointBlazefaceHangeulv0.6-24PointBlazefaceHangeulv0.6-36PointBlazefaceHangeulv0.6-48PointBlazefaceHangeulv0.6-60PointBlazefaceHangeulv0.6-72PointArvana ThinAG Superblack Myeongjo RegularAG MadangDisplayArvana BoldArvana MediumArvana LightArvana ExtraLightAG Choijeongho Screen RegularAG Choijeongho Screen SemiBoldAG Choijeongho Screen BoldNormalBatang-BoldFuzar-BlackFuzar-BlackItalicFuzar-BoldFuzar-BoldItalicFuzar-ExtraBoldFuzar-ExtraBoldItalicFuzar-ExtraLightFuzar-ExtraLightItalicFuzar-ItalicFuzar-LightFuzar-LightItalicFuzar-MediumFuzar-MediumItalicFuzar-RegularFuzar-SemiBoldFuzar-SemiBoldItalicFuzar-ThinFuzar-ThinItalicFuzar SemiCondensed-BlackFuzar SemiCondensed-BlackItalicFuzar SemiCondensed-BoldFuzar SemiCondensed-BoldItalicFuzar SemiCondensed-ExtraBoldFuzar SemiCondensed-ExtraBoldItalicFuzar SemiCondensed-ExtraLightFuzar SemiCondensed-ExtraLightItalicFuzar SemiCondensed-ItalicFuzar SemiCondensed-LightFuzar SemiCondensed-LightItalicFuzar SemiCondensed-MediumFuzar SemiCondensed-MediumItalicFuzar SemiCondensed-RegularFuzar SemiCondensed-SemiBoldFuzar SemiCondensed-SemiBoldItalicFuzar SemiCondensed-ThinFuzar SemiCondensed-ThinItalicFuzar Condensed-BlackFuzar Condensed-BlackItalicFuzar Condensed-BoldFuzar Condensed-BoldItalicFuzar Condensed-ExtraBoldFuzar Condensed-ExtraBoldItalicFuzar Condensed-ExtraLightFuzar Condensed-ExtraLightItalicFuzar Condensed-ItalicFuzar Condensed-LightFuzar Condensed-LightItalicFuzar Condensed-MediumFuzar Condensed-MediumItalicFuzar Condensed-RegularFuzar Condensed-SemiBoldFuzar Condensed-SemiBoldItalicFuzar Condensed-ThinFuzar Condensed-ThinItalicOrtankHangeulDisplay-BlackOrtankHangeulDisplay-BoldOrtankHangeulDisplay-ExtraBoldOrtankHangeulDisplay-ExtraLightOrtankHangeulDisplay-LightOrtankHangeulDisplay-MediumOrtankHangeulDisplay-RegularOrtankHangeulDisplay-SemiBoldOrtankHangeulDisplay-ThinOrtankHangeulText-BlackOrtankHangeulText-BoldOrtankHangeulText-ExtraBoldOrtankHangeulText-ExtraLightOrtankHangeulText-LightOrtankHangeulText-MediumOrtankHangeulText-RegularOrtankHangeulText-SemiBoldOrtankHangeulText-ThinBitanzaCTPorcini RegularCTSangAAG Superblack Gothic-CondensedNeutronicHangeul-BlackNeutronicHangeul-BoldNeutronicHangeul-ExtraboldNeutronicHangeul-ExtralightNeutronicHangeul-HeavyNeutronicHangeul-LightNeutronicHangeul-MediumNeutronicHangeul-RegularNeutronicHangeul-SemiboldNeutronicHangeul-ThinNeutronicHangeul-CompressedBlackNeutronicHangeul-CompressedBoldNeutronicHangeul-CompressedExtraboldNeutronicHangeul-CompressedExtralightNeutronicHangeul-CompressedHeavyNeutronicHangeul-CompressedLightNeutronicHangeul-CompressedMediumNeutronicHangeul-CompressedRegularNeutronicHangeul-CompressedSemiboldNeutronicHangeul-CompressedThinDunkelSerif-MediumDunkelSerif-ExpandedDunkelSerif-CondensedDunkelSerif-DisplayCondensedDunkelSerif-DisplayExpandedDunkelSerif-DisplayMediumDragon-HeavyDragon-HighlightUmamor-ExtraBoldChallan-AExtraBoldChallan-BExtraBoldAG DailyAG NextAG FountainAG MONSTERAG MORRIGANAG Latin PackageBonebone-ThinBonebone-LightBonebone-RegularBonebone-MediumDunkel Sans RoundedAG Choijeongho Minburi ScreenAG KimjoosungNormalGoshikku-MediumNormalGoshikku-BoldKronikAntikDisplay-BlackKronikAntikDisplay-BlackItalicKronikAntikDisplay-BoldKronikAntikDisplay-BoldItalicKronikAntikDisplay-ExtraBoldKronikAntikDisplay-ExtraBoldItalicKronikAntikDisplay-ExtraLightKronikAntikDisplay-ExtraLightItalicKronikAntikDisplay-ItalicKronikAntikDisplay-LightKronikAntikDisplay-LightItalicKronikAntikDisplay-MediumKronikAntikDisplay-MediumItalicKronikAntikDisplay-RegularKronikAntikDisplay-SemiBoldKronikAntikDisplay-SemiBoldItalicKronikAntikDisplay-ThinKronikAntikDisplay-ThinItalicKronikAntikText-BlackKronikAntikText-BlackItalicKronikAntikText-BoldKronikAntikText-BoldItalicKronikAntikText-ExtraBoldKronikAntikText-ExtraBoldItalicKronikAntikText-ExtraLightKronikAntikText-ExtraLightItalicKronikAntikText-ItalicKronikAntikText-LightKronikAntikText-LightItalicKronikAntikText-MediumKronikAntikText-MediumItalicKronikAntikText-RegularKronikAntikText-SemiBoldKronikAntikText-SemiBoldItalicKronikAntikText-ThinKronikAntikText-ThinItalicKronikGrotesk-BlackKronikGrotesk-BoldKronikGrotesk-ExtraBoldKronikGrotesk-ExtraLightKronikGrotesk-LightKronikGrotesk-MediumKronikGrotesk-RegularKronikGrotesk-SemiBoldKronikGrotesk-ThinKronikVision-BlackKronikVision-BlackSlantedKronikVision-BoldKronikVision-BoldSlantedKronikVision-ExtraBoldKronikVision-ExtraBoldSlantedKronikVision-ExtraLightKronikVision-ExtraLightSlantedKronikVision-LightKronikVision-LightSlantedKronikVision-MediumKronikVision-MediumSlantedKronikVision-RegularKronikVision-SemiBoldKronikVision-SemiBoldSlantedKronikVision-SlantedKronikVision-ThinKronikVision-ThinSlantedByeokdolCTBeaomNabi 1 UltraLightCTBeaomNabi 2 LightCTBeaomNabi 3 RegularCTBeaomNabi 4 MediumCTBeaomNabi 5 SemiBoldCTBeaomNabi 6 BoldCTBeaomNabi 7 BlackCTBeaomNabi 8 HeavyAG UnidotAG BanchanAG HaHaHangeulAG ABC Grow HangeulAG GeulgyeolAG HandoniAG RetroFutureAG Nolim NU Écriture Basic NU Écriture DisplayNU Forest BlackNU Forest CursiveBlackNU Habanera BasicNU Habanera ItalicAG TechnoJoyAG BaldiAG AerosolNUAmorphic RegularNUPlumb RegularNUPlumb BoldNUColloco RegularPresentByeolmoaTossyGlitchblackAG Choijeongho Sunmyeongjo LightAG Choijeongho Sunmyeongjo RegularAG Choijeongho Sunmyeongjo SemiboldAG Choijeongho Sunmyeongjo BoldAG Choijeongho Sunmyeongjo Extrabold
훈민정음이 만들어질 무렵, 세종대왕의 신하 정인지가 해례본 정인지서 첫머리에서 말하길, 천지자연의 소리가 있다면 반드시 천지자연의 글자가 있다 하였고, 이는 곧 천지자연의 모든 소리를 한글로 담을 수 있음을 뜻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쓰고 있는 한글로는 서방은 물론이거니와 동방의 말조차도 제소리대로 적기 어려우며, 더구나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글자 중에서 지금은 사라져서 쓰이지 않는 소리도 있다. 하여, 이러한 한글 소리 표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사라진 옛글자를 되살리고, 다른 나라의 말의 여러 가지 소리 가운데 현재의 한글로는 적을 수 없는 소리를 골라내어 훈민정음을 만든 원리인 한 글자에 하나의 소리가 나는 일음일자의 원칙과 가획과 합자의 원리에 따라 새로이 낱자를 만들고 《소리체》라 이름 지었다.
1.7
이 폰트에서 가독성은 단순히 글자를 읽는 것을 넘어, 형태를 인지하고 느끼는 것에 가깝습니다. 겉보기에는 추상적으로 보이는 글자들이 단어로 조합되면 매우 높은 가독성을 발휘합니다. Futurism, Bauhaus, Constructivism에서 영감을 받아 디지털 시대에 맞게 재해석되었으며, 대담하고 유희적인 요소가 발명적 감각을 불러일으킵니다.
1.6
같은 시대에 다른 장소에서 엇비슷한 아이디어가 태어나고 꼭 닮은 미의식이 발생하는 현상은 반드시 있다. 인간은 창조성이나 독자성 이전에 공감의 생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같은 것을 보고 웃는다. 같은 것을 보고 소리 지른다. 누구한테 배우지 않아도 가장 빨리 달린 사람에게 감동한다. 어차피 인간, 생각하는 게 그리 다르지 않다는 점 또한 하나의 구원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1.4
사장님은 드르륵하고 부품 상자들을 계속 꺼내고 집어넣으면서 정리했고, 찌꺼기, 알콜용 솜 같은 것들을 각각에 맞는 작은 상자에 집어넣었다. 환풍기구는 적절한 방향과 타이밍으로 작동했고, 이렇게까지 해야하는걸까 하고 지켜보고 있자니 사람이 단단하게 느껴졌다. 믿음은 이런 감정이었을까. 83년부터 계셨다고 했다. 충고의 말들이 더없이 진실로 느껴졌다. 그 모습을 보고 있자니 매순간 부끄러웠다. 이런 말이 나올줄을 몰랐는데, 발가벗겨진 기분이었다. 스스로를 감추고 싶었다. 사장님에게 또 뵙고싶다고 말했는데, 기대했던대로 또 보러오지 말라는 대답을 돌려주셨다. 30분 남짓한 시간 동안에 비슷한 또래의 남성이 둘 들어와서 차례를 기다리고 있었다.
1.1
전염병은 아니지만 누군가 아기를 데려다가 잠시 봐줘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그러나 그런 생각이 옳지 않다는 걸 곧 깨달았다. 고통스럽던 병자의 얼굴에 잠시 은은한 미소가 떠오르면서 그의 시선이 멈춘 곳을 보니 잠든 아기의 발바닥이었다. 포대기 끝으로 나온 아기 발바닥의 열 발가락이 "세상에 예쁜 것" 탄성이 나올 만큼, 아니 뭐라고 형용할 수 없을 만큼 예뻤다. 수명을 다하고 쓰러지려는 고목나무가 자신의 뿌리 근처에서 몽실몽실 돋는 새싹을 볼 수 있다면 그 고목나무는 쓰러지면서도 얼마나 행복할까.
1.4
Aerosol은 리버스 콘트라스트의 모노스페이스 서체입니다. 픽셀 폰트에서 출발했으며, 1980년대 스프레이 캔 브랜드의 레터링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다른 방향으로 발전했습니다. 디자이너를 위한 재미있는 도구로 설계되어 포스터, 책 표지 등 다양한 창의적인 작업에 활용하기에 적합합니다.
1.6
일본 영화감독, 소설가. 1974년 히로시마현 아사미나미구에서 태어났다. 와세다대학교 제일 문학부에서 미술사학을 전공하고 TV 프로그램 제작 회사인 TV MAN UNION 면접 당시 면접관이었던 영화감독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눈에 띄어 영화 〈원더풀 라이프〉 제작에 스태프로 참여했다. 2002년 직접 각본을 쓴 블랙 코미디 〈뱀딸기〉를 연출하며 감독으로 데뷔했다. 이 작품으로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각본상,신도 가네토상을 포함하여 그 해에 수많은 일본 국내 영화상의 신인상을 받았다. 2006년 칸 영화제 감독 주간에 출품한 〈유레루〉 로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대상, 2009년 연출한 〈우리 의사 선생님〉으로 블루리본 감독상을 받았다. 2012년에는 〈꿈팔이 부부 사기단〉을 연출했고 2016년 〈아주 긴 변명〉으로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감독상을 받았다. 비범한 문장가이기도 한 니시카와 미와는 소설 『유레루』 『어제의 신』 『그날 도쿄역 5시 25분발』 『아주 긴 변명』을 집필했다. 『유레루』는 미시마 유키오상, 『어제의 신』은 나오키상, 『아주 긴 변명』은 야마모토 슈고로상과 나오키상 후보에 각각 올랐다.
1.4
이는 단순히 신라인들의 시대정신을 표출하는 데 그치지 않고, 화랑도사상의 구체적 실천 덕목을 약여하게 부각시키고 이념적 체계를 가다듬게 함으로써 화랑도 발전에 결정적인 구실을 하였다. 이리하여 직접적으로는 신라로 하여금 삼국통일의 위업을 성취하고 세계사상 유례가 드문 천년왕조의 영광을 누리게 하였고, 간접적으로는 후대에 와서 민족사의 흐름 속에서 거세게 밀어닥친 외래문화의 물결 속에서도 우리 민족 특유의 순수선량하고도 의연한 민족성을 이어오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1.5
‘오흐탕크(Ortank) 한글 텍스트 / 디스플레이’는 지오매트릭 그로테스크 계열의 서체로 기하학적 형태의 한계를 탐구한 결과물인 오흐탕크 텍스트(Ortank Text), 오흐탕크 디스플레이 (Ortank Display)의 한글 버전입니다. 직선형 그로테스크 스타일에서 오는 약간의 고전적인 느낌에 단순함이 결합되었습니다. 서체는 큰 단락 형식뿐만 아니라 작은 텍스트까지 여러 종류의 콘텐츠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1.5
일반으로 꺾꽂이에 의하는데︑ 교배육종을 하고자 할 때에는 실생법에 의한다︒ 꺾꽂이 시기는 꽃피는 시기와 관계가 있다︒ 즉 12월부터 꽃이 피게 하려면 1~2월 중에 꺾꽂이를 하는데︑ 어미포기에서 옆가지 6~9cm 크기의 것을 옆으로 뉘어 잡아당겨 따낸 것을 사용하며︑ 이 때 그 가지에 달린 잎의 3분의 1정도를 잘라버리고 물에 1시간 동안 담가 두었다가 꽂는다︒ 흙은 잘 풍화된 적토나 가는 모래를 쓴다︒ 깊이가 9cm되는 나무상자에 흙을 넣고 고르게 다진 다음 깊이 2~3cm︑ 포기사이 3cm 간격으로 꽂는다︒ 꺾꽂이가 끝나면 충분히 물을 주고 종이로 상자를 덮어 밤의 온도 10~12도 되게 관리하면 30~40일 후에 뿌리가 내린다︒
1.5
오후 여섯시에 기차는 회령역을 출발하였다. 경편차 보다는 마음이 푹 놓여 차창을 의지하여 밖을 내어다 보았다. 마침 형사들이 와서 지분거리기에 그만 눈을 꾹 감고 자는 체하던 것이 정말 잠이 들고 말았다. 이따금 잠결에 눈을 들어보면 높고 낮은 산봉 위에 저녁 노을빛이 불그레하니 얽혀 있었다. 이튿날 아침 아직도 이른 새벽. 검푸른 안개 속으로 이렴풋이 나타나 보이는 솔포기며 그 밑으로 흰 거품을 토하며 솩 내밀치는 동해 바닷물, 그리고 하늘에 닿은 듯한 수평선 저쪽으로, 꿈인 듯이 흘러내리는 한두낱의 별, 살았다 꺼진다. 벌써 농부들은 괭이를 둘러메고 논뚝과 밭머리에 높이 서 있었다. 금방 이앙한 볏모는 시선이 닿는 데까지 푸르러 있었다. 이따금씩 숲 사이로 보이는 초라한 초가집이며, 울바자 끝에 넌 흰 빨래며, 한가롭게 풀 뜯는 강변에 누운 소의 모양이 얼핏얼핏 지나친다. 잠시나마 붉은 구릉으로 된 단조무미한 간도에 살던 나로서는 이 모든 경치에 취하여 완연히 선경으로 들어가는 듯한 느낌이었다. 그러나 이곳 저곳에 흩어져 있는 큰 공장에서 시커먼 연기를 토하고 있는 것은 장차 무엇을 말함일까.
1.4
프랑스의 철학자이며 수학자인 르네 데카르트는 맨눈으로 관찰한 눈의 결정을 스케치하고 서술해 '기상학'지에 1637년 처음으로 발표했습니다. 그 뒤 많은 과학자들이 눈의 결정에 흥미를 가지고 연구했으며 17세기 후반에는 현미경이 발명되어 눈 결정 연구에 많은 진전을 거두었습니다. 영국의 로버트 훅은〈마이크로그라피아Micrographia〉에 현미경으로 관찰한 눈 결정 그림을 실었습니다. 1665년 발간한 이 책은 과학 서적 중 최초의 베스트셀러였으며,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의 그림을 통해 사람들은 눈 결정이 얼마나 복잡하면서 아름다운 모습인지 알게 되었습니다.
1.5
암흑물질의 존재에 대한 의문은 지구 위에 있는 인간의 존재와는 무관한 듯 보인다. 그러나 암흑물질이 실제로 존재하느냐 않느냐는 현대 우주론의 최종 운명을 결정지을 수 있다. 우리는 먼 천제들로부터 멀어지는 은하에서 오는 빛의 적색편이를 통해 우주가 현재 팽창하고 있음을 알고 있다. 우리가 빛으로 관찰할 수 있는 일반 물질의 양은 이러한 팽창을 멈출 만한 충분한 중력이 없으며, 그래서 그러한 팽창은 암흑 물질이 없다면 영원히 계속될 것이다. 이론적으로 우주에 암흑 물질이 충분히 있다면 우주는 팽창을 멈추거나 역행(최후에 대붕괴로 이끄는)하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실제로는 우주의팽창이나 수축 여부는 암흑 물질과는 다른 암흑에너지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다.
1.3
콩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비발효 식품에는 두유와 두부 껍질을 만드는 두유가 포함된다. 발효 콩 식품에는 간장, 발효 된장, 낫토, 템페 등이 있다. 무지방 대두박은 동물 사료와 많은 포장 식사에 사용되는 중요하고 저렴한 단백질 공급원이다. 예를 들어, 질감 식물성 단백질와 같은 대두 제품은 많은 육류 및 유제품 대체품의 성분이다. 대두에는 상당한 양의 피트산, 식이 미네랄 및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다. 식품 및 산업 분야에 사용되는 대두 식물성 기름은 대두 작물을 가공하는 또 다른 제품이다. 대두는 가축사료를 위한 가장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다.
1.3
안드로이드도 꿈을 꾸나? 릭은 속으로 물었다. 그건 분명해. 그들이 때때로 주인을 죽이고 이곳으로 도망치는 이유도 그것이니까. 더 나은 삶, 노예 신세가 아니라. 루바 루프트처럼 말이야. ‘돈 조반니’와 ‘피가로의 결혼’을 노래하는 거지.
1.3
자회는 장식 문자 회화, 창의적 글자체 도형 디자인, 더 나아가 한자 예술 표현을 아우르는 통칭이다. 한자는 태생적으로 도형의 형태를 갖고 있는데 글 '서' 자와 그림 '화'자가 상당히 비슷하게 생겼다는 점을 봐도 그 연원이 얼마나 깊은지 알 수 있다. 이러한 한자의 도형화는 추상적인 서법 예술이든 상대적으로 구체적인 문자 회화든 상관없이 한자 예술과 디자인 발전에 줄곧 영향을 끼쳐왔다.
1.2
소나무 뿌리를 베고 누워 선잠이 얼핏 들었는데, 꿈에 한 사람이 나에게 이르기를, “그대를 내가 모르랴? 그대는 하늘의 신선이라, 황정경 한 글자를 어찌 잘못 읽고 인간 세상에 내려와서 우리를 따르는가? 잠시 가지 말고 이 술 한 잔 먹어 보오.” 북두칠성과 같은 국자를 기울여 동해물 같은 술을 부어 저 먹고 나에게도 먹이거늘, 서너 잔을 기울이니 온화한 봄바람이 산들산들 불어 양 겨드랑이를 추켜올리니, 아득한 하늘도 웬만하면 날 것 같구나. “이 신선주를 가져다가 온 세상에 고루 나눠 온 백성을 다 취하게 만든 후에, 그 때에야 다시 만나 또 한 잔 하자꾸나.” 말이 끝나자, 신선은 학을 타고 높은 하늘에 올라가니, 공중의 옥퉁소 소리가 어제던가 그제던가 어렴풋하네. 나도 잠을 깨어 바다를 굽어보니, 깊이를 모르는데 하물며 끝인들 어찌 알리. 명월이 온 세상에 아니 비친 곳이 없다.
1.5
We conceive typefaces with two very different approaches. Our first approach is achieved by digging into history. We then mix these sources and our own sketches into new shapes. We make those live between time and cultural expressions. The second one consists of creating a product with clear end usages in mind. Whether we create fonts for motion, interactive design, or print, we explore the full potential in each of these design worlds.
1.3
항성 자체는 지구에 비하면 압도적으로 무겁고 밝은 존재이지만 항성과 항성 사이는 엄청나게 떨어져 있다. 태양을 제외하고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은 켄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로 빛의 속도로 4.2년이 걸리는 거리에 있다. 이 거리는 39조 9천억 킬로미터에 이르며, 태양에서 명왕성까지 거리의 6000배에 이르는 간격이다. 프록시마에서 떠난 빛이 지구에 이르기까지는 4.2년이 걸린다. 우주 왕복선의 지구 궤도선상 속도(시속 3만 킬로미터)로 프록시마까지 가려면 15만 년이 걸린다.
1.3
We conceive typefaces with two very different approaches. Our first approach is achieved by digging into history. We then mix these sources and our own sketches into new shapes. We make those live between time and cultural expressions. The second one consists of creating a product with clear end usages in mind. Whether we create fonts for motion, interactive design, or print, we explore the full potential in each of these design worlds.
1.2
“나는 동아일보사 건물 후문에서 한참을 서성댄 뒤에야 벌떼처럼 쏟아져나오는 소년 가운데 제일 앞장서서 뛰는 녀석을 잡아 세웠다. 아마 이날 신문을 가장 먼저 산 사람은 나였을 것이다. 나는 가벼운 흥분을 누르며 신문 1면부터 차례로 훑어내려갔다.” [활자문화의 뒤안길에서]
1.4
상당수 인공지능 연구의 (본래) 목적은 심리학에 대한 실험적인 접근이었고, 언어 지능이 무엇인지를 밝혀내는 것이 주목표였다(튜링 테스트가 대표적인 예이다). 언어 지능을 제외한 인공지능에 대한 시도들은 로보틱스와 집합적 지식을 포함한다. 이들은 환경에 대한 처리, 의사 결정을 일치시키는 것에 중심을 두며 어떻게 지능적 행동이 구성되는 것인가를 찾을 때, 생물학과, 정치과학으로부터 이끌어 낸다. 사회적 계획성과 인지성의 능력은 떨어지지만 인간과 유사한 유인원을 포함한, 복잡한 인식방법을 가진 동물뿐만 아니라 특히 곤충들(로봇들로 모방하기 쉬운)까지 포함한 동물학으로부터 인공지능 과학은 시작된다. 여러 가지 생명체들의 모든 논리구조를 가져온 다는 것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수치화, 기계화 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인공지능 학자는 동물들은 인간들보다 모방하기 쉽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동물의 지능을 만족하는 계산 모델은 없다.
1.3
획의 운용은 마땅히 견고하고 힘차야하며, 글자의 결구는 방정해야하고, 글자의 배열은 고르고 곧아야하고, 글줄의 배열과 문장의 조합은 어울리도록 정돈되어야하니, 이를 일러 큰 원칙이요, 큰 법도라 한다.
1.6
코끼리는 덩치가 크고 피부가 두껍기 때문에 다른 동물에게 해를 입지 않는다. 주로 사자나 호랑이 등이 코끼리를 노리는데 큰 코끼리는 공격하지 못하고 어쩌다 새끼를 노릴 뿐이다. 무리가 위험에 처하면 큰 코끼리들은 둥글게 새끼를 둘러싼다. 코끼리는 몸을 실룩거리고 귀를 바짝 세워 적을 위협한다. 그러다가 적이 공격해오면 적을 밟거나 상아로 받는다. 코끼리는 잘 놀라는데, 총소리가 나면 집단 전체가 공포에 질려 소리를 낸 대상을 공격하거나 후퇴를 한다. 놀라거나 성이 나면 코로 나팔 소리를 낸다. 한편 이가 빠져 먹이를 씹을 수 없게 되면 굶어 죽는다. 코끼리가 죽으면 몸은 썩어 없어지고 상아만 남는다. 수명은 60~70년이다. 그러나, 동물원의 좁은 공간에서 생활하는 코끼리의 수명은 평균 17세가 안 된다고 한다.
1.2
“한글은 나 개인의 소유가 될 수는 없고, 당연히 민족의 소유물이어야 합니다. 헌데 이러한 요령이 수학공식처럼 되어있는 것도 아니고 해서 이야기 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미술에 공식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지요. 아무튼 단편적인 요령보다는 기본적인 것이 더 중요합니다.”
1.4
귀뜨라미와 나와 잔디밭에서 이야기했다. 귀뜰귀뜰 귀뜰귀뜰 아무게도 알으켜 주지 말고 우리들만 알자고 약속했다. 귀뜰귀뜰 귀뜰귀뜰 귀뜨라미와 나와 달밝은 밤에 이야기 했다.
1.4
기러기의 고향은 춥고 추운 50도 이북의 풀과 나무도 잘 나지 않는 북극 지방입니다. 세계 지도를 펴 놓고 보면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대륙을 포함한 북극의 지점입니다. 이곳이 기러기의 고향이랍니다. 기러기는 해마다 9월부터 10월까지 따뜻한 남쪽 나라를 찾아와서 겨울을 나고 종달새 우는 봄이 오면 고향을 찾아 북쪽 나라로 다시 갑니다. 기러기가 고향을 떠날 때는 으레 북풍이 불 때인데 달 밝은 밤을 골라서 떠난답니다. 북풍을 타고 오면 날개가 덜 아프기 때문에 멀리 올 수가 있습니다. 이렇게 날고 날다가 피곤하면 땅에 내려서 쉬기도 하고 바다에 떠서 쉬기도 합니다.
1.3
사자자리 유성우는 복사점이 사자자리 감마별 근처인 적경 10h 14m, 적위 +22°에 있는 대표적인 대 유성우의 하나이다. 평상시에는 시간당 10~15개의 유성이 떨어지는 볼품없는 유성우이지만 33년을 주기로 공전하는 모혜성 템펠-터틀 혜성이 통과한 직후에는 시간당 수백에서 수십만 개의 유성이 떨어져 진귀한 천체 쇼를 연출해낸다. 지난 1998년이 이에 해당하여 시간당 수백 개의 유성우를 볼 수 있었다. 역사적으로 899년 이집트에서 기록된 유성우 기록이 사자자리 유성우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인정받았고, 이후 중국, 일본, 중동 등의 세계 각지에서 그 기록이 발견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1532년과 1566년, 1625년등에 사자자리 유성우 기록이 남아있고, 643년의 고구려의 유성우 기록도 사자자리였던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템펠-터틀 혜성이 통과한 지 50여 일 만에 지구가 혜성 궤도로 진입하였던 1833년의 미국의 기록에는 ‘세상이 불길에 휩싸였다’라고 전해진다.
1.6
사각형의내부의사각형의내부의사각형의내부의사각형의내부의사각형. 사각이난원운동의사각이난원운동의사각이난원운동의사각이난원운동. 비누가통과하는혈관의비눗내를투시하는사람. 지구를모형으로만들어진지구의를모형으로만들어진지구. 거세된양말.(그여인의이름은워어즈였다) 빈형면포, 당신의얼굴빛깔도참새다리같습네다. 평행사변형대각선방향을추진하는막대한중량. 마르세이유의봄을해람한코티향수가맞이한동양의가을. 쾌청의공중에붕유하는Z백호. 회충양약이라고쓰여져있다. 옥상정원. 원후를흉내내고있는마드모아젤. 만곡된직선을직선으로질주하는낙체공식. 시계문자반에ⅩⅡ에내리워진두개의침수된황혼. 도어의내부의도어의내부의조롱의내부의카나리아의내부의감살문호의내부의인사식당의문간에방금도착한자웅과같은붕우가헤어진다. 검정잉크가엎질러진각설탕이삼륜차에적하된다. 명함을짓밟는군용장화. 가구를질구하는조화금련. 위에서내려오고밑에서올라가고위에서내려오고밑에서올라간사람은밑에서올라가지아니한위에서내려오지아니한밑에서올라가지아니한위에서내려오지아니한사람. 저여자의하반은저남자의상반에흡사하다.(나는애련한해후에애처로워하는나) 사각이난케—스카걷기시작이다.(소름끼치는일이다) 라지에—타의근방에서승천하는꾿빠이. 바깥은우중. 발광어류의군집이동.
1.3
글리치 블랙 Glitch Black은 사이버 펑크로부터 영감을 얻어 제작된 탈네모 글꼴입니다. 큰 획대비가 주는 강렬함과 곡선 없이 디자인된 형태는 모티브로부터 따온 기계적인 인상을 전달합니다. 더불어 전체 글자에 적용된 25도의 기울기는 글리치의 속도감을 나타냅니다. 글리치 블랙의 첫닿자와 받침닿자는 위치가 엇갈리게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낱자 안에서 글리치의 인상을 전달할 뿐 아니라, 양 옆의 글자끼리 서로 맞물리도록 설계된 구조를 통해서도 기계적 인상을 보여줍니다.
1.5
활자체의 인상은 글자꼴의 공통된 구조와 획의 형태를 통해 결정됩니다. 이 두 요소는 무수히 반복되며 '글'을 구성하고, 나아가 고유한 ‘결’을 만들어냅니다. 세벌식 타자기를 위해 만들어진 조합형 한글 활자는 주로 구조에 초점을 맞춰 발전해 왔으며, 이에 반해 조합된 획들이 만들어내는 ‘글의 결’에 대해서는 다소 간과된 측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조합형 한글이 담아낼 수 있는 새로운 ‘글결’의 한 예시를 소개합니다.
1.6
어린 왕자의 별에는 아주 소박한 꽃이 있었다. 그는 그 꽃을 주의해서 살펴보았는데, 그 꽃은 겸손하지도 않고 자기의 가시 네 개로 호랑이 발톱을 당할 수 있다고 허세를 부렸다. 그래서 왕자는 괴로움을 당했다. 별을 떠나던 날 아침 그는 자기의 별을 깨끗이 챙겨 놓았다. 꽃에 고깔을 씌워 주려고 했을 때도 그 꽃은 자기의 우는 꼴을 보이지 않으려 거만하게 굴었다. 어린 왕자는 일거리도 구하고, 무엇을 배우기도 할 목적으로 여러 소혹성을 찾아 길을 나섰다.
1.5
Clay moves slowly under hand. Coiling begins with a single line — soft, flexible, easily shaped. Layer by layer, it rises, growing taller, gaining weight. Every curve holds the memory of touch. Every line shows the rhythm of making. Stacking is not just a way of building, but a way of recording time — patient, quiet, human. What begins small becomes solid. What feels fragile becomes enduring. Clay remembers everything.
1.6
내 꿈의 세계 창 밖엔 미루나무들이 어린이 열람실의 단층 건물보다 훨씬 크게 자라 여름이면 그 잎이 무수한 은화가 매달린 것처럼 강렬하게 빛났고, 겨울이면 차가운 하늘을 향해 쭉쭉 뻗은 힘찬 가지가 감화력을 지닌 위대한 의지처럼 보였다. 책을 읽는 재미는 어쩌면 책 속에 있지 않고 책 밖에 있었다. 책을 읽다가 문득 창밖의 하늘이나 녹음을 보면 줄창 봐 온 범상한 그것들하곤 전혀 다르게 보였다. 나는 사물의 그러한 낯섦에 황홀한 희열을 느꼈다.
1.5
Niffler - A small desman-like creature built like a steropodon; mole-like appearance with platypus-like features (e.g., having a long, flat tail and webbed feet like those of an otter or a beaver, and its long, flat duck-like bill or snout). Nifflers are obsessed with hoarding shiny objects, which they usually store in their pouch until returning to their burrow.
1.2
「별모아」는 종이별의 형태에서 영감을 받아, 뾰족한 각과 부풀어오른 형태를 주요 조형 요소로 삼아 디자인한 탈네모꼴 한글 글꼴입니다. 자소의 각진 꼭지점 형태와 함께 부드러운 곡선이 조화를 이루어 따뜻하면서도 독특한 리듬감이 느껴지길 바라며 디자인 했습니다. 단단하고 옹골찬 형태로 안정적인 인상을 유지하면서도, 일부 자소는 자유롭게 위치를 벗어나며 탈네모꼴의 유연함을 강조합니다. 가볍고 부드러운 분위기를 가진 별모아는 한글 11,172자, 라틴 52자, 기호 활자 155자를 지원하며 감정의 결을 담아내는 글이나 통통 튀는 메세지를 강조하기 좋은, 시적 정서를 담은 구조적 실험 글꼴입니다. 꾹꾹 눌러 접은 진심 어린 마음을, 별모아에 가득 담아 전해보세요.
1.2
숲(Forest)은 지구 생태계의 중요한 부분으로, 우리 삶과 환경에 깊은 영향을 미칩니다. 이곳은 수많은 동식물의 서식지일 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숲의 역할과 중요성을 이해하는 것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먼저, 숲은 산소를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나무와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여 대기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또한, 숲은 탄소를 저장하여 기후 변화 완화에도 기여합니다. 대기 중 온실가스를 흡수하여 지구 온난화를 늦추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숲은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지이기도 합니다. 열대우림부터 온대림, 침엽수림까지 각각의 숲은 고유한 생태계를 형성하며, 수많은 동식물이 이곳에서 살아갑니다. 이러한 생물다양성은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고 환경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숲은 식량, 의약품, 목재와 같은 자원을 제공하여 인간의 삶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5
We conceive typefaces with two very different approaches. Our first approach is achieved by digging into history. We then mix these sources and our own sketches into new shapes. We make those live between time and cultural expressions. The second one consists of creating a product with clear end usages in mind. Whether we create fonts for motion, interactive design, or print, we explore the full potential in each of these design worlds.
1.2
헨리 간이식당의 문이 열리고 두 남자가 들어왔다. 그들은 카운터에 앉았다. “뭐로 하시겠습니까?” 조지가 그들에게 물었다. “모르겠는데.” 한 남자가 말했다. “뭐 먹고 싶어, 앨?” “모르겠는데.” 앨이 말했다. “뭘 먹고 싶은지 모르겠어.” 밖은 어두워지고 있었다. 창밖의 가로등에 불이 들어왔다. 카운터에 앉은 두 남자는 메뉴판을 보았다. 닉 애덤스는 카운터의 다른 쪽 끝에서 그들을 지켜보았다. 그들이 들어왔을 때 그는 조지와 이야기를 나누던 중이었다. “나는 사과소스와 으깬 감자를 곁들인 돼지고기 안심 구이.” 첫번째 남자가 말했다.
1.5
We conceive typefaces with two very different approaches. Our first approach is achieved by digging into history. We then mix these sources and our own sketches into new shapes. We make those live between time and cultural expressions. The second one consists of creating a product with clear end usages in mind. Whether we create fonts for motion, interactive design, or print, we explore the full potential in each of these design worlds.
1.2
Prehistorically, and in less technologically advanced cultures even into modern times, tool and weapon blades have been made from wood, bone, and stone. Most woods are exceptionally poor at holding edges and bone and stone suffer from brittleness making them suffer from fracture when striking or struck. In modern times stone, in the form of obsidian, is used in some medical scalpels as it is capable of being formed into an exceedingly fine edge. Ceramic knives are non-metallic and non-magnetic. As non-metals do not corrode they remain rust and corrosion free but they suffer from similar faults as stone and bone, being rather brittle and almost entirely inflexible.
1.2
We conceive typefaces with two very different approaches. Our first approach is achieved by digging into history. We then mix these sources and our own sketches into new shapes. We make those live between time and cultural expressions. The second one consists of creating a product with clear end usages in mind. Whether we create fonts for motion, interactive design, or print, we explore the full potential in each of these design worlds.
1.3
아카시아꽃도 첨 보는 꽃이려니와 서울 아이들도 자연에서 곧장 먹을 걸 취한다는 걸 알게 된 것도 그 꽃을 통해서였다. 잘 먹은 아이는 송이째 들고 포도송이에서 포도을 따먹듯이 차례차례 맛있게 먹어 들어 갔다. 나도 누가 볼세라 몰래 그 꽃을 한 송이 먹어 보았더니 비릿하고 들척지근했다. 그리고는 헛구역질이 났다. 무언가로 입가심을 해야 들뜬 비위가 가라앉을 것 같았다. 나는 불현듯 싱아가 생각났다. 우리 시골에선 싱아도 달개비만큼이나 흔한 풀이었다. 산기슭이나 길가 아무데나 있었다. 그 줄기에는 마디가 있고, 찔레꽃 필 무렵 줄기가 가장 살이 오르고 연했다. 발그스름한 줄기를 꺾어서 겉껍질을 길이로 벗겨 내고 속살을 먹으면 새콤달콤했다. 입안에 군침이 돌게 신맛이, 아카시아꽃으로 상한 비위를 가라앉히는 데만 그만일 것 같았다. 나는 마치 상처난 몸에 붙일 약초를 찾는 짐승처럼 조급하고도 간절하게 산 속을 찾아 헤맸지만 싱아는 한 포기도 없었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1.4
지금까지 발견된 사례 중 가장 금속 함유량이 적은 별은 HE1327-2326으로 이 별의 중원소 함유비는 태양의 20만 분의 1에 불과하다. 반대로 사자자리 뮤의 중원소 함유율은 태양의 두 배에 이르며 행성을 거느린 허큘리스자리 14의 경우 중원소 비율이 세 배에 이른다. 크로뮴이나 희토류 원소와 같이 화학적 특이성을 보여 스펙트럼상 평범하지 않은 원소가 많이 함유된 경우도 존재한다.
1.3
앎은 한정되어 있지만 무지에는 끝이 없다. 지성에 관한한 우리는 설명이 불가능한 끝없는 무지의 바다 한가운데 떠 있는 작은 섬에 불과하다. 세대가 바뀔 때마다 그 섬을 조금씩이라도 넓혀 나가는 것이 인간의 의무이다. -토마스 헉슬리, 1887년
1.3
Unidot은 점의 보편성을 바탕으로 공통된 형태를 탐구한 디자인입니다.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 LED 간판, 초기 컴퓨터 그래픽 등 레트로 디지털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며, 기술적이면서도 유쾌한 느낌을 지닌 글꼴로 완성되었습니다. Unidot의 그리드는 매우 촘촘하며, 안상수체의 모듈 방식을 바탕으로 이를 한 단계 더 발전시켰습니다. 그리드는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디자인의 일정한 자유를 허용했습니다.
1.6
두부는 콩으로 만든 식품의 한 가지로 은은한 향이 있어 고소하고 달콤한 요리에 활용하기 좋다. 요리와 맛에 맞게 양념하거나 재워두는 경우가 많으며, 쫄깃한 식감으로 인해 맛을 잘 흡수한다. 이는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요리의 전통적인 구성 요소이며 중국에서는 2,000년 이상 소비되어 왔다. 현대 서양 요리에서는 고기 대용품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영양학적으로 두부는 칼로리가 낮으면서도 단백질 함량이 비교적 높다. 철 함량이 높으며 제조에 사용되는 응고제(예: 염화칼슘,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에 따라 칼슘 또는 마그네슘 함량이 높을 수 있다.
1.3
맥아더, 그 두 개의 얼굴‒ 모든 역사의 영웅들은 신화를 남긴다. 우리는 그 신화라는 프리즘을 통해 굴절된 영웅의 사람됨을 읽는다. 그러나 영웅도 사람이다.
1.1
Amorphous, Fluid, Organic, Undefined, Boundless, Seamless, Formless, Unstructured, Shapeless, Mutable, Ethereal, Weightless, Abstract, Elusive, Flowing, Irregular, Asymmetrical, Freeform, Evolving, Expanding, Drifting, Soft-edged, Ever-changing, Indeterminate, Unconfined, Borderless, Continuous, Non-linear, Adaptive, Spectral, Dynamic, Nebulous
1.6
외부 식민지에서의 새로운 삶이 당신을 기다립니다.
1.4
믹소그라피아(Mixography)는 입체감을 강조한 현대 판화 기법으로, 전통적인 평면 판화 기법과는 달리, 물리적인 질감과 깊이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기법은 실크스크린, 리소그래피와 같은 평면 인쇄 기술을 사용하면서도, 섬세한 질감을 형성하여 종이에 입체적인 느낌을 주는 특징이 있습니다. 믹소그라피아는 잉크의 두께와 압력의 차이를 이용해 표면의 높낮이나 질감을 변화시키며, 시각적으로뿐만 아니라 촉각적으로도 독특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작품은 더욱 입체적이고 생동감 있는 인상을 남깁니다.
1.6
아시아 문화권의 전통적인 용은 사슴의 뿔에 뱀의 몸이고 비늘은 물고기의 모습을, 귀는 소의 형태이다. 이때 모사되는 용은 주로 여의주를 물고 있는데, 현대로 넘어오며 생략되는 일이 잦아졌다. 용은 보통 왕을 상징한다. 또한 용이 되지 못한 뱀을 '이무기'라 칭하며 일본에선 용이 되지 못한 물고기를 '용어'라 칭하기도 한다
1.3
Clay comes together, fire passes through, and ceramics take shape. At first, it's just soft, shapeless clay, but over time, it settles into a solid form—just like a well-designed letter. For a letter to stand properly, balance is everything. If the center of gravity is off, it wobbles, tilts, and eventually topples over. But NU Plumb is different.
1.6
We conceive typefaces with two very different approaches. Our first approach is achieved by digging into history. We then mix these sources and our own sketches into new shapes. We make those live between time and cultural expressions. The second one consists of creating a product with clear end usages in mind. Whether we create fonts for motion, interactive design, or print, we explore the full potential in each of these design worlds.
1.2
르네상스 또는 문예 부흥, 학예 부흥은 유럽 문명사에서 14세기부터 16세기 사이 일어난 문예 부흥 또는 문화 혁신 운동을 말한다. 과학 혁명의 토대가 만들어져 중세를 근세와 이어주는 시기가 되었다. 여기서 문예부흥이란 구체적으로 14세기에서 시작하여 16세기 말에 유럽에서 일어난 문화, 예술 전반에 걸친 고대 그리스와 로마 문명의 재인식과 재수용을 의미한다. 옛 그리스와 로마의 문학, 사상, 예술을 본받아 인간 중심의 정신을 되살리려 하였다. 이 점에서 르네상스는 일종의 시대적 정신운동이라고 말할 수 있다.
1.5
맥스웰 방정식은 갈릴레이 뉴턴의 상대성원리를 만족하지 않았고 이는 물리학의 난제였다. 이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던 중, 아인슈타인은 맥스웰의 전자기학 이론과 에테르에 대한 증거 부족에 동기부여를 받아 특수 상대성 이론을 정립했다. 특수상대성 이론은 불명확했던 전자기 이론들을 명확하게 하였다.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은 빛의 속력 불변의 원리를 바탕으로 상대방에 대해 등속으로 움직이는 두 개의 기준틀에서 고전 전자기법칙이 변하지 않고 유지되는 새로운 시공간 개념을 제시한다. 모든 관성좌표계에서 빛의 속력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서로 다른 속도를 가진 관성좌표계에서 자연법칙은 동일한 형태로 기술될 수 있다.
1.3
없는 이의 행복은 여기에 있는 것이다. 한없는 용기밖에 내놓을 것 없는 데에 있는 것이다. 부자가 돈 쓰듯 용기를 내기에 거침없는 데에 있는 것이다. 용기다. 용기로 맞이할 우리의 새해다. 아침 햇살보다도 더 씩씩한 용기를 내자! 어두운 구름을 밀쳐낼 용기를 가지자! 아아, 해가 솟는다. 우리의 새해가 솟는다. 누리에 덮힌 어둠을 서쪽으로 밀어 치면서 새로운 생명의 새해는 솟는다. 오오, 새해다! 새아침이다! 우리의 새아침이다.
1.8
가을에는 무엇보다도 제일 좋은 것이 달 밝은 것입니다. 일 년 중에 가을달처럼 맑고 서늘한 달은 다시 없습니다. 음력으로 구월 보름께쯤 저녁을 일찍 먹고 나서 자기 집에 있는 과실을 밤이든지 배든지 포도든지 감이든지 조금만 싸 가지고 약속한 시간에 뒷동산이나, 앞뜰이나, 모이자 한 곳으로 모입니다. 그 자리에는 단풍나무에 에워싸였거나 그렇지 않으면 다른 무엇에 에워싸인 조그마한 편편한 마당입니다.(집에서 가까운 곳은 재미 없습니다.) 그 조그만 마당에 미리 준비여 손바닥만 하게 좁다랗고 손으로 두 뼘 만하게 길쭉하게 종이를 오려서, 그 종이에 울긋불긋하게 물감칠(잉크 칠을 조금씩 하여도 좋습니다.)을 하고 그 위에 먹으로 ‘가을 놀이’, ‘달맞이’ 혹은 ‘달과 같이 둥글게’라 하든지 혹은 ‘달과 같이 맑게’라 하든지, 자기 마음에 좋다고 생각하는 글귀를 씁니다.
1.6
나는 어린 왕자가 철새들의 이동을 이용하여 그의 별을 떠났으리라 생각한다. 떠나는 날 아침 그는 자기의 별을 깨끗이 정돈해 놓았다. 불을 뿜은 화산들을 정성들여 소재했다. 그에게는 불을 뿜는 화산이 둘 있었다. 그런데 그것은 아침밥을 데우는 데 아주 편리했다. 불이 꺼져 있는 화산도 하나 있었다. 그러나 그의 말처럼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는 일이야." 그는 그래서 불 꺼진 화산도 똑같이 소재했다. 화산들은 청소가 잘 되어 있을때는 부드럽게, 규칙적으로 폭발하지 않고 타오른다. 화산의 폭발은 벽난로의 불과 마찬가지인 것이다.
1.5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가을로 가득 차 있습니다. 나는 아무 걱정도 없이 가을 속의 별들을 다 헤일 듯합니다. 가슴속에 하나 둘 새겨지는 별을 이제 다 못 헤는 것은 쉬이 아침이 오는 까닭이요, 내일 밤이 남은 까닭이요, 아직 나의 청춘이 다하지 않은 까닭입니다. 별 하나에 추억과 별 하나에 사랑과 별 하나에 쓸쓸함과 별 하나에 동경과 별 하나에 시와 별 하나에 어머니, 어머니, 강아지, 토끼, 노새, 노루, 프랑시스 잠, 라이넬 마리아 릴케 이런 시인의 이름을 불러 봅니다. 이네들은 너무나 멀리 있습니다. 별이 아슬히 멀 듯이, 어머님, 그리고 당신은 멀리 북간도에 계십니다. 나는 무엇인지 그리워 이 많은 별빛이 나린 언덕 위에 내 이름자를 써 보고, 흙으로 덮어 버리었습니다. 딴은 밤을 새워 우는 벌레는 부끄러운 이름을 슬퍼하는 까닭입니다. 그러나 겨울이 지나고 나의 별에도 봄이 오면 무덤 위에 파란 잔디가 피어나듯이 내 이름자 묻힌 언덕 위에도 자랑처럼 풀이 무성할 게외다.
1.6
難道是爲了迎接那無數個美的星星我才會墜落的嗎。 想聽聽你的旋律你銀河里的星星是如何綉你的天空的。 就算是走錯路落下的傷疤那也是我的星座。 昨日今日明日的我每一個都是一不可的我。 像樣獨自歌唱如同孤島的我也能發光發嗎再一次樣歌唱吧 無回答的首歌知道明天傳達到的那刻為止無休止的電波中總有一天會傳送出去是直到地球一邊。
1.1
범나비의 조형 요소는 반흘림궁체를 쓸 때의 모습을 관찰하고 필법을 차용해 디자인했습니다. 범나비는 기본적으로 같은 두께의 획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일부 요소에서는 붓의 흐름과 강약이 느껴지도록 구성했습니다. 가로/세로획 시작 부분은 부리가 생략되었지만, 붓이 만들어 내는 자연스러운 각도를 명확히 표현하고 있습니다. 가로획 맺음은 붓을 눌러 마무리한 형태로 살짝 통통해지며 마름모꼴로 마무리됩니다. 세로획 맺음은 궁체 필법에 영향을 받아 좌측라인을 따라서 뾰족하게 마무리되는 형태입니다. 시옷꼴에서는 붓을 떼고 새로 쓰면서 획이 가늘어진 흔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역꼴은 위로 치켜 쓴 형태로 시작해, 획 두께를 유지하며 뾰족하게 마무리되는 형태입니다. 붓으로 반듯한 정원의 이응꼴을 그리기는 쉽지 않습니다. 여러 이응꼴을 확인하고 직접 그려보며, 반듯하게 그리려 애쓴 형태의 이응꼴을 만들었습니다.
1.5
TechnoJoy는 90년대 디자인과 테크노 씬에서 The Designers Republic이 선보인 독특한 물방울 곡선 스타일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서체입니다. 픽셀감 있는 질감과 역동적인 타이포그래피가 그 시대의 혁신적인 그래픽 디자인을 떠올리게 하며, 복고적인 감성과 미래적인 분위기를 동시에 연출할 수 있습니다.
1.6
에비씨 그로우 한글은 기존 라틴 서체의 핵심적인 특징을 추출해 이를 한글로 재창조 했습니다. 서로의 아이디어로 영감을 주고 균형을 맞추며, 여섯 가지 기본 아웃라인이 표현적이면서도 정교한 디자인, 레이아웃, 브랜딩 작업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다층적 서체로 완성되었습니다.
1.6
하바네라(Habanera)는 쿠바의 리듬과 스페인 음악 전통이 융합된 독특한 음악 양식으로, 19세기 후반부터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아 왔습니다. 이 장르는 느긋하면서도 리듬감 있는 2/4 박자를 기반으로, 강렬한 반복과 섬세한 멜로디의 조화가 특징입니다. 하바네라는 원래 아프로-쿠반 댄스 음악에서 기원했으며, 유럽으로 전파된 후 클래식 음악과 오페라에서도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비제(Georges Bizet)의 오페라 카르멘의 유명한 아리아 ‘하바네라’는 이 장르의 매력을 집약적으로 보여줍니다. 하바네라의 리듬은 단순한 반복을 넘어서, 미묘한 긴장감과 유려한 흐름을 만들어내어 듣는 이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몸을 흔들게 합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하바네라는 시대와 문화를 초월해 다양한 음악 장르에 영향을 주었으며, 오늘날까지도 재즈, 탱고, 팝 음악 등에서 그 흔적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1.5
Italy, officially the Italian Republic or Republic of Italy, has an estimated 100,000 monuments of any sort (museums, palaces, buildings, statues, churches, art galleries, villas, fountains, historic houses and archaeological remains), and according to some estimates the nation is home to half the world’s greatest art treasures.
1.2
1680년 피카드(J. Picard)는 10년 관측 결과를 분석하여 북극성(Polaris)이 1년동안 40_ 정도 규칙적으로 위치가 다르게 나타남을 발표하였다.
1.1
Handoni의 핵심은 라틴 보도니(Bodoni)의 클래식한 형태를 한글로 재해석하여 서구적인 느낌을 동양 문자 체계에 담아내는 것입니다. 기존 라틴 디자인에서 지니고 있는 무게감은 유지하되, 한글은 유쾌하고 자유로운 느낌을 더해서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재구성 했습니다.
1.5
“예술의 세계처럼 나이가 숫자에 불과한 분야도 드물다. 나이가 인간을 매료시키는 ‘반짝반짝한 그 무엇’을 선사하진 않는다. 좀더 잔인하게 이야기하자면, 오손 웰즈의 영화 〈시민 케인〉에 나오는 말처럼 ‘Some people can sing, others can’t.’인 것이다. 결국 언젠가 그녀의 힘으로 80년생, 그리고 최연소 작가 무엇이라는 수식어를 떼버리거나 무력화시킬 날이 올 것이다. 나이와 성별이 그녀의 재능을 만든 것이 결코 아니므로.”
1.6
We conceive typefaces with two very different approaches. Our first approach is achieved by digging into history. We then mix these sources and our own sketches into new shapes. We make those live between time and cultural expressions. The second one consists of creating a product with clear end usages in mind. Whether we create fonts for motion, interactive design, or print, we explore the full potential in each of these design worlds.
1.3
“사람의 생명, 강인한 기원을 투영하지 않는 한 사람들에게 진정한 감동을 주는 건축물은 태어날 수 없다. 사람의 온기,생명을 작품 밑바탕에 두는 일. 그 지역의 전통과 문맥, 에센스를 어떻게 감지하고 앞으로 만들어질 건축물에 어떻게 담아낼 것인가? 그리고 중요한 것은 그 땅의 지형과 ‘바람의 노래’가 들려주는 언어를 듣는 일이다.”
1.5
마침 언덕 너머로 아가의 오빠가 뛰어왔습니다. 그리고 아가의 손에 뭐를 가진 것을 보고 “너 그게 뭐냐?” 하고 물었습니다. “몰라 오빠 이게 무슨 나비야?” 하고 아가는 꿀벌을 높이 들어 보였습니다. “그게 벌이다. 벌이야! 침으로 쏘면 큰일난다. 어서 버려라, 어서!”하고 오빠가 소리쳤습니다. “에구머니나!” 아가는 질겁을 하여 꿀벌을 놓아주었습니다.
1.3
그리고 자줏빛 비단 커튼의 슬프고도 불분명한 바스락거림은 나를 오싹하게 했다—전에 느껴본 적 없는 환상적인 공포가 나를 채웠고 그리하여 이제, 두근거리는 내 가슴을 잠재우려, 나는 일어나 다시금 말했다. "들어오기를 청하는 방문객이 내 방문에 있을 뿐이다— 어느 늦은 방문객이 내 방문에서 들어오기를 청할 뿐—
1.5
Banchan은 한글과 라틴 문자가 결합된 서체입니다. 통일된 디자인과 규칙을 가진 기하학적인 구조에 각진 터미널이 강조된 이 서체는 시대를 초월한 우아함을 지니며, 디자인 프로젝트에서 현대적인 느낌을 전달하는 데 탁월한 선택이 됩니다.
1.6
‘선물(Present)’은 언제나 잊지 않고 돌아와주는 겨울을 기다리는 마음을 담아 제작된, 따뜻하고 포근한 감성의 글꼴입니다. 각 픽셀 컴포넌트는 단순한 점이 아닌 니트의 짜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서툴러도 정성스럽게, 투박하더라도 애정을 담아 떠내려간 목도리를 떠올리게 합니다. 글자의 세로 인상과 자연스레 길어지는 단락은 마음을 덧댈수록 길어지는 목도리처럼 커져만 가는 사랑의 무게를 닮아 있습니다. 총 11,172자의 한글 글리프와 52자의 로마자, 182자의 기호 활자를 지원하며, 눈사람과 크리스마스트리 등 ‘선물(Present)’만의 특별한 기호 활자들이 곳곳에 숨겨져 있습니다. 정성과 애정을 꾹꾹 눌러 담아 전하고 싶은 마음이 있다면 ‘선물(Present)’을 통해 그 진심을 건네보세요.
1.5
토씨는 씨앗의 모양을 닮은 좁고 긴 탈네모틀 서체입니다. 글줄 흐름선이 중앙에 위치하고 있어, 글자를 지면에 심으면 오르락 내리락 자라나는 듯한 모양이 됩니다. 여러 모임꼴이 섞여있는 글자를 쓸 때 글줄의 형태가 특히 매력적입니다. 획의 동그란 끝에서 온화하고 따뜻한 인상이 느껴지고, 분절된 형태는 리듬감을 만들어냅니다. 촘촘하게 심은 씨앗을 떠올리며, 글자 형태에 따라 폭이 다르게 설계하였습니다. 한글 11,172자, 라틴 베이직 52자, 기타 기호 활자 160자를 지원합니다.
1.5
HaHaHangeul은 한 번도 실현되지 못한 아이덴티티 프로젝트를 위해 디자인했던 서체를 바탕으로 합니다. 원래 음악 학교를 위해 만들어졌고, 클래식 음악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글자의 형태는 리버스 콘트라스트(reverse contrast)와 작고 날카로운 세리프가 특징입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이 서체를 되살리고 새롭게 한글 스크립트로 재구성했습니다.
1.6
사랑 옆에는 항상 정의가 있습니다. 우리는 정의의 도구만을 사용할 것입니다. 이제까지는 설득이라는 도구를 사용해 왔지만 이제는 항의라는 도구를 사용해야 할 때가 되었습니다. 우리는 항의를 통해서 사람들의 인식을 변화시키고 법률을 바꾸어야 합니다.
1.5
밤이 깊으면 비어 있는 벤치가 없어. 나와 너는 걷고 또 걸었지. 밤이 깊어도 쉴 수가 없어. 너는 너에게 헐벗은 꿈을 맡긴 채, 어느 먼 곳에서.
1.5
바람이 분다 서러운 마음에 텅 빈 풍경이 불어온다 머리를 자르고 돌아오는 길에 내내 글썽이던 눈물을 쏟는다 하늘이 젖는다 어두운 거리에 찬 빗방울이 떨어진다 무리를 지으며 따라오는 비는 내게서 먼 것 같아 이미 그친 것 같아 «이소라, 바람이 분다»
1.3
벌판한복판에꽃나무하나가있소. 근처에는꽃나무가하나도없소 꽃나무는제가생각하는꽃나무를 열심으로생각하는것처럼열심으로꽃을피워가지고섰소. 꽃나무는제가생각하는꽃나무에게갈수없소. 나는막달아났소. 한꽃나무를위하여그러는것처럼나는참그런이상스러운흉내를 내었소.
1.2
We conceive typefaces with two very different approaches. Our first approach is achieved by digging into history. We then mix these sources and our own sketches into new shapes. We make those live between time and cultural expressions. The second one consists of creating a product with clear end usages in mind. Whether we create fonts for motion, interactive design, or print, we explore the full potential in each of these design worlds.
1.2
봄의 정원으로 오라. 이곳에 꽃과 술과 촛불이 있으니. 만일 당신이 오지 않는다면, 이것들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 그리고 만일 당신이 온다면, 이것들이 또한 무슨 의미가 있는가.
1.4
발디는 한글의 기하학적인 형태를 탐구합니다. 가로와 세로 획, 곡선, 원형 요소들이 시각적 '소리'를 형성하는 방식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번 디자인에서는 가로 획을 미세하게 강조했으며, 곡선 요소는 모음에 인간미를 더하며, ᄉ, ᄊ, ᄌ, ᄍ, ᄎ과 같은 글자들은 더 유기적인 형태로 발전하였습니다. 작은 크기에서 가독성을 확보하기 위해, 텍스트의 회색값에서 검은 점을 피하기 위해 미세한 잉크 트랩과 시각적 보정이 포함되었습니다. 목표는 텍스트와 디스플레이 용도로 모두 활용 가능한 균형 잡힌 '마법적인' 단일 굵기의 서체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1.5
훈민정음이 만들어질 무렵, 세종대왕의 신하 정인지가 해례본 정인지서 첫머리에서 말하길, 천지자연의 소리가 있다면 반드시 천지자연의 글자가 있다 하였고, 이는 곧 천지자연의 모든 소리를 한글로 담을 수 있음을 뜻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쓰고 있는 한글로는 서방은 물론이거니와 동방의 말조차도 제소리대로 적기 어려우며, 더구나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글자 중에서 지금은 사라져서 쓰이지 않는 소리도 있다. 하여, 이러한 한글 소리 표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사라진 옛글자를 되살리고, 다른 나라의 말의 여러 가지 소리 가운데 현재의 한글로는 적을 수 없는 소리를 골라내어 훈민정음을 만든 원리인 한 글자에 하나의 소리가 나는 일음일자의 원칙과 가획과 합자의 원리에 따라 새로이 낱자를 만들고 《소리체》라 이름 지었다.
1.7
같은 시대에 다른 장소에서 엇비슷한 아이디어가 태어나고 꼭 닮은 미의식이 발생하는 현상은 반드시 있다. 인간은 창조성이나 독자성 이전에 공감의 생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같은 것을 보고 웃는다. 같은 것을 보고 소리 지른다. 누구한테 배우지 않아도 가장 빨리 달린 사람에게 감동한다. 어차피 인간, 생각하는 게 그리 다르지 않다는 점 또한 하나의 구원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1.4
사장님은 드르륵하고 부품 상자들을 계속 꺼내고 집어넣으면서 정리했고, 찌꺼기, 알콜용 솜 같은 것들을 각각에 맞는 작은 상자에 집어넣었다. 환풍기구는 적절한 방향과 타이밍으로 작동했고, 이렇게까지 해야하는걸까 하고 지켜보고 있자니 사람이 단단하게 느껴졌다. 믿음은 이런 감정이었을까. 83년부터 계셨다고 했다. 충고의 말들이 더없이 진실로 느껴졌다. 그 모습을 보고 있자니 매순간 부끄러웠다. 이런 말이 나올줄을 몰랐는데, 발가벗겨진 기분이었다. 스스로를 감추고 싶었다. 사장님에게 또 뵙고싶다고 말했는데, 기대했던대로 또 보러오지 말라는 대답을 돌려주셨다. 30분 남짓한 시간 동안에 비슷한 또래의 남성이 둘 들어와서 차례를 기다리고 있었다.
1.1
전염병은 아니지만 누군가 아기를 데려다가 잠시 봐줘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그러나 그런 생각이 옳지 않다는 걸 곧 깨달았다. 고통스럽던 병자의 얼굴에 잠시 은은한 미소가 떠오르면서 그의 시선이 멈춘 곳을 보니 잠든 아기의 발바닥이었다. 포대기 끝으로 나온 아기 발바닥의 열 발가락이 "세상에 예쁜 것" 탄성이 나올 만큼, 아니 뭐라고 형용할 수 없을 만큼 예뻤다. 수명을 다하고 쓰러지려는 고목나무가 자신의 뿌리 근처에서 몽실몽실 돋는 새싹을 볼 수 있다면 그 고목나무는 쓰러지면서도 얼마나 행복할까.
1.4
일본 영화감독, 소설가. 1974년 히로시마현 아사미나미구에서 태어났다. 와세다대학교 제일 문학부에서 미술사학을 전공하고 TV 프로그램 제작 회사인 TV MAN UNION 면접 당시 면접관이었던 영화감독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눈에 띄어 영화 〈원더풀 라이프〉 제작에 스태프로 참여했다. 2002년 직접 각본을 쓴 블랙 코미디 〈뱀딸기〉를 연출하며 감독으로 데뷔했다. 이 작품으로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각본상,신도 가네토상을 포함하여 그 해에 수많은 일본 국내 영화상의 신인상을 받았다. 2006년 칸 영화제 감독 주간에 출품한 〈유레루〉 로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대상, 2009년 연출한 〈우리 의사 선생님〉으로 블루리본 감독상을 받았다. 2012년에는 〈꿈팔이 부부 사기단〉을 연출했고 2016년 〈아주 긴 변명〉으로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감독상을 받았다. 비범한 문장가이기도 한 니시카와 미와는 소설 『유레루』 『어제의 신』 『그날 도쿄역 5시 25분발』 『아주 긴 변명』을 집필했다. 『유레루』는 미시마 유키오상, 『어제의 신』은 나오키상, 『아주 긴 변명』은 야마모토 슈고로상과 나오키상 후보에 각각 올랐다.
1.4
이는 단순히 신라인들의 시대정신을 표출하는 데 그치지 않고, 화랑도사상의 구체적 실천 덕목을 약여하게 부각시키고 이념적 체계를 가다듬게 함으로써 화랑도 발전에 결정적인 구실을 하였다. 이리하여 직접적으로는 신라로 하여금 삼국통일의 위업을 성취하고 세계사상 유례가 드문 천년왕조의 영광을 누리게 하였고, 간접적으로는 후대에 와서 민족사의 흐름 속에서 거세게 밀어닥친 외래문화의 물결 속에서도 우리 민족 특유의 순수선량하고도 의연한 민족성을 이어오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1.5
‘오흐탕크(Ortank) 한글 텍스트 / 디스플레이’는 지오매트릭 그로테스크 계열의 서체로 기하학적 형태의 한계를 탐구한 결과물인 오흐탕크 텍스트(Ortank Text), 오흐탕크 디스플레이 (Ortank Display)의 한글 버전입니다. 직선형 그로테스크 스타일에서 오는 약간의 고전적인 느낌에 단순함이 결합되었습니다. 서체는 큰 단락 형식뿐만 아니라 작은 텍스트까지 여러 종류의 콘텐츠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1.5
일반으로 꺾꽂이에 의하는데︑ 교배육종을 하고자 할 때에는 실생법에 의한다︒ 꺾꽂이 시기는 꽃피는 시기와 관계가 있다︒ 즉 12월부터 꽃이 피게 하려면 1~2월 중에 꺾꽂이를 하는데︑ 어미포기에서 옆가지 6~9cm 크기의 것을 옆으로 뉘어 잡아당겨 따낸 것을 사용하며︑ 이 때 그 가지에 달린 잎의 3분의 1정도를 잘라버리고 물에 1시간 동안 담가 두었다가 꽂는다︒ 흙은 잘 풍화된 적토나 가는 모래를 쓴다︒ 깊이가 9cm되는 나무상자에 흙을 넣고 고르게 다진 다음 깊이 2~3cm︑ 포기사이 3cm 간격으로 꽂는다︒ 꺾꽂이가 끝나면 충분히 물을 주고 종이로 상자를 덮어 밤의 온도 10~12도 되게 관리하면 30~40일 후에 뿌리가 내린다︒
1.5
오후 여섯시에 기차는 회령역을 출발하였다. 경편차 보다는 마음이 푹 놓여 차창을 의지하여 밖을 내어다 보았다. 마침 형사들이 와서 지분거리기에 그만 눈을 꾹 감고 자는 체하던 것이 정말 잠이 들고 말았다. 이따금 잠결에 눈을 들어보면 높고 낮은 산봉 위에 저녁 노을빛이 불그레하니 얽혀 있었다. 이튿날 아침 아직도 이른 새벽. 검푸른 안개 속으로 이렴풋이 나타나 보이는 솔포기며 그 밑으로 흰 거품을 토하며 솩 내밀치는 동해 바닷물, 그리고 하늘에 닿은 듯한 수평선 저쪽으로, 꿈인 듯이 흘러내리는 한두낱의 별, 살았다 꺼진다. 벌써 농부들은 괭이를 둘러메고 논뚝과 밭머리에 높이 서 있었다. 금방 이앙한 볏모는 시선이 닿는 데까지 푸르러 있었다. 이따금씩 숲 사이로 보이는 초라한 초가집이며, 울바자 끝에 넌 흰 빨래며, 한가롭게 풀 뜯는 강변에 누운 소의 모양이 얼핏얼핏 지나친다. 잠시나마 붉은 구릉으로 된 단조무미한 간도에 살던 나로서는 이 모든 경치에 취하여 완연히 선경으로 들어가는 듯한 느낌이었다. 그러나 이곳 저곳에 흩어져 있는 큰 공장에서 시커먼 연기를 토하고 있는 것은 장차 무엇을 말함일까.
1.4
프랑스의 철학자이며 수학자인 르네 데카르트는 맨눈으로 관찰한 눈의 결정을 스케치하고 서술해 '기상학'지에 1637년 처음으로 발표했습니다. 그 뒤 많은 과학자들이 눈의 결정에 흥미를 가지고 연구했으며 17세기 후반에는 현미경이 발명되어 눈 결정 연구에 많은 진전을 거두었습니다. 영국의 로버트 훅은〈마이크로그라피아Micrographia〉에 현미경으로 관찰한 눈 결정 그림을 실었습니다. 1665년 발간한 이 책은 과학 서적 중 최초의 베스트셀러였으며,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의 그림을 통해 사람들은 눈 결정이 얼마나 복잡하면서 아름다운 모습인지 알게 되었습니다.
1.5
암흑물질의 존재에 대한 의문은 지구 위에 있는 인간의 존재와는 무관한 듯 보인다. 그러나 암흑물질이 실제로 존재하느냐 않느냐는 현대 우주론의 최종 운명을 결정지을 수 있다. 우리는 먼 천제들로부터 멀어지는 은하에서 오는 빛의 적색편이를 통해 우주가 현재 팽창하고 있음을 알고 있다. 우리가 빛으로 관찰할 수 있는 일반 물질의 양은 이러한 팽창을 멈출 만한 충분한 중력이 없으며, 그래서 그러한 팽창은 암흑 물질이 없다면 영원히 계속될 것이다. 이론적으로 우주에 암흑 물질이 충분히 있다면 우주는 팽창을 멈추거나 역행(최후에 대붕괴로 이끄는)하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실제로는 우주의팽창이나 수축 여부는 암흑 물질과는 다른 암흑에너지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다.
1.3
콩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비발효 식품에는 두유와 두부 껍질을 만드는 두유가 포함된다. 발효 콩 식품에는 간장, 발효 된장, 낫토, 템페 등이 있다. 무지방 대두박은 동물 사료와 많은 포장 식사에 사용되는 중요하고 저렴한 단백질 공급원이다. 예를 들어, 질감 식물성 단백질와 같은 대두 제품은 많은 육류 및 유제품 대체품의 성분이다. 대두에는 상당한 양의 피트산, 식이 미네랄 및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다. 식품 및 산업 분야에 사용되는 대두 식물성 기름은 대두 작물을 가공하는 또 다른 제품이다. 대두는 가축사료를 위한 가장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다.
1.3
We conceive typefaces with two very different approaches. Our first approach is achieved by digging into history. We then mix these sources and our own sketches into new shapes. We make those live between time and cultural expressions. The second one consists of creating a product with clear end usages in mind. Whether we create fonts for motion, interactive design, or print, we explore the full potential in each of these design worlds.
1.3
항성 자체는 지구에 비하면 압도적으로 무겁고 밝은 존재이지만 항성과 항성 사이는 엄청나게 떨어져 있다. 태양을 제외하고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은 켄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로 빛의 속도로 4.2년이 걸리는 거리에 있다. 이 거리는 39조 9천억 킬로미터에 이르며, 태양에서 명왕성까지 거리의 6000배에 이르는 간격이다. 프록시마에서 떠난 빛이 지구에 이르기까지는 4.2년이 걸린다. 우주 왕복선의 지구 궤도선상 속도(시속 3만 킬로미터)로 프록시마까지 가려면 15만 년이 걸린다.
1.3
We conceive typefaces with two very different approaches. Our first approach is achieved by digging into history. We then mix these sources and our own sketches into new shapes. We make those live between time and cultural expressions. The second one consists of creating a product with clear end usages in mind. Whether we create fonts for motion, interactive design, or print, we explore the full potential in each of these design worlds.
1.2
상당수 인공지능 연구의 (본래) 목적은 심리학에 대한 실험적인 접근이었고, 언어 지능이 무엇인지를 밝혀내는 것이 주목표였다(튜링 테스트가 대표적인 예이다). 언어 지능을 제외한 인공지능에 대한 시도들은 로보틱스와 집합적 지식을 포함한다. 이들은 환경에 대한 처리, 의사 결정을 일치시키는 것에 중심을 두며 어떻게 지능적 행동이 구성되는 것인가를 찾을 때, 생물학과, 정치과학으로부터 이끌어 낸다. 사회적 계획성과 인지성의 능력은 떨어지지만 인간과 유사한 유인원을 포함한, 복잡한 인식방법을 가진 동물뿐만 아니라 특히 곤충들(로봇들로 모방하기 쉬운)까지 포함한 동물학으로부터 인공지능 과학은 시작된다. 여러 가지 생명체들의 모든 논리구조를 가져온 다는 것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수치화, 기계화 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인공지능 학자는 동물들은 인간들보다 모방하기 쉽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동물의 지능을 만족하는 계산 모델은 없다.
1.3
코끼리는 덩치가 크고 피부가 두껍기 때문에 다른 동물에게 해를 입지 않는다. 주로 사자나 호랑이 등이 코끼리를 노리는데 큰 코끼리는 공격하지 못하고 어쩌다 새끼를 노릴 뿐이다. 무리가 위험에 처하면 큰 코끼리들은 둥글게 새끼를 둘러싼다. 코끼리는 몸을 실룩거리고 귀를 바짝 세워 적을 위협한다. 그러다가 적이 공격해오면 적을 밟거나 상아로 받는다. 코끼리는 잘 놀라는데, 총소리가 나면 집단 전체가 공포에 질려 소리를 낸 대상을 공격하거나 후퇴를 한다. 놀라거나 성이 나면 코로 나팔 소리를 낸다. 한편 이가 빠져 먹이를 씹을 수 없게 되면 굶어 죽는다. 코끼리가 죽으면 몸은 썩어 없어지고 상아만 남는다. 수명은 60~70년이다. 그러나, 동물원의 좁은 공간에서 생활하는 코끼리의 수명은 평균 17세가 안 된다고 한다.
1.2
기러기의 고향은 춥고 추운 50도 이북의 풀과 나무도 잘 나지 않는 북극 지방입니다. 세계 지도를 펴 놓고 보면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대륙을 포함한 북극의 지점입니다. 이곳이 기러기의 고향이랍니다. 기러기는 해마다 9월부터 10월까지 따뜻한 남쪽 나라를 찾아와서 겨울을 나고 종달새 우는 봄이 오면 고향을 찾아 북쪽 나라로 다시 갑니다. 기러기가 고향을 떠날 때는 으레 북풍이 불 때인데 달 밝은 밤을 골라서 떠난답니다. 북풍을 타고 오면 날개가 덜 아프기 때문에 멀리 올 수가 있습니다. 이렇게 날고 날다가 피곤하면 땅에 내려서 쉬기도 하고 바다에 떠서 쉬기도 합니다.
1.3
사각형의내부의사각형의내부의사각형의내부의사각형의내부의사각형. 사각이난원운동의사각이난원운동의사각이난원운동의사각이난원운동. 비누가통과하는혈관의비눗내를투시하는사람. 지구를모형으로만들어진지구의를모형으로만들어진지구. 거세된양말.(그여인의이름은워어즈였다) 빈형면포, 당신의얼굴빛깔도참새다리같습네다. 평행사변형대각선방향을추진하는막대한중량. 마르세이유의봄을해람한코티향수가맞이한동양의가을. 쾌청의공중에붕유하는Z백호. 회충양약이라고쓰여져있다. 옥상정원. 원후를흉내내고있는마드모아젤. 만곡된직선을직선으로질주하는낙체공식. 시계문자반에ⅩⅡ에내리워진두개의침수된황혼. 도어의내부의도어의내부의조롱의내부의카나리아의내부의감살문호의내부의인사식당의문간에방금도착한자웅과같은붕우가헤어진다. 검정잉크가엎질러진각설탕이삼륜차에적하된다. 명함을짓밟는군용장화. 가구를질구하는조화금련. 위에서내려오고밑에서올라가고위에서내려오고밑에서올라간사람은밑에서올라가지아니한위에서내려오지아니한밑에서올라가지아니한위에서내려오지아니한사람. 저여자의하반은저남자의상반에흡사하다.(나는애련한해후에애처로워하는나) 사각이난케—스카걷기시작이다.(소름끼치는일이다) 라지에—타의근방에서승천하는꾿빠이. 바깥은우중. 발광어류의군집이동.
1.3
글리치 블랙 Glitch Black은 사이버 펑크로부터 영감을 얻어 제작된 탈네모 글꼴입니다. 큰 획대비가 주는 강렬함과 곡선 없이 디자인된 형태는 모티브로부터 따온 기계적인 인상을 전달합니다. 더불어 전체 글자에 적용된 25도의 기울기는 글리치의 속도감을 나타냅니다. 글리치 블랙의 첫닿자와 받침닿자는 위치가 엇갈리게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낱자 안에서 글리치의 인상을 전달할 뿐 아니라, 양 옆의 글자끼리 서로 맞물리도록 설계된 구조를 통해서도 기계적 인상을 보여줍니다.
1.5
어린 왕자의 별에는 아주 소박한 꽃이 있었다. 그는 그 꽃을 주의해서 살펴보았는데, 그 꽃은 겸손하지도 않고 자기의 가시 네 개로 호랑이 발톱을 당할 수 있다고 허세를 부렸다. 그래서 왕자는 괴로움을 당했다. 별을 떠나던 날 아침 그는 자기의 별을 깨끗이 챙겨 놓았다. 꽃에 고깔을 씌워 주려고 했을 때도 그 꽃은 자기의 우는 꼴을 보이지 않으려 거만하게 굴었다. 어린 왕자는 일거리도 구하고, 무엇을 배우기도 할 목적으로 여러 소혹성을 찾아 길을 나섰다.
1.5
Clay moves slowly under hand. Coiling begins with a single line — soft, flexible, easily shaped. Layer by layer, it rises, growing taller, gaining weight. Every curve holds the memory of touch. Every line shows the rhythm of making. Stacking is not just a way of building, but a way of recording time — patient, quiet, human. What begins small becomes solid. What feels fragile becomes enduring. Clay remembers everything.
1.6
내 꿈의 세계 창 밖엔 미루나무들이 어린이 열람실의 단층 건물보다 훨씬 크게 자라 여름이면 그 잎이 무수한 은화가 매달린 것처럼 강렬하게 빛났고, 겨울이면 차가운 하늘을 향해 쭉쭉 뻗은 힘찬 가지가 감화력을 지닌 위대한 의지처럼 보였다. 책을 읽는 재미는 어쩌면 책 속에 있지 않고 책 밖에 있었다. 책을 읽다가 문득 창밖의 하늘이나 녹음을 보면 줄창 봐 온 범상한 그것들하곤 전혀 다르게 보였다. 나는 사물의 그러한 낯섦에 황홀한 희열을 느꼈다.
1.5
「별모아」는 종이별의 형태에서 영감을 받아, 뾰족한 각과 부풀어오른 형태를 주요 조형 요소로 삼아 디자인한 탈네모꼴 한글 글꼴입니다. 자소의 각진 꼭지점 형태와 함께 부드러운 곡선이 조화를 이루어 따뜻하면서도 독특한 리듬감이 느껴지길 바라며 디자인 했습니다. 단단하고 옹골찬 형태로 안정적인 인상을 유지하면서도, 일부 자소는 자유롭게 위치를 벗어나며 탈네모꼴의 유연함을 강조합니다. 가볍고 부드러운 분위기를 가진 별모아는 한글 11,172자, 라틴 52자, 기호 활자 155자를 지원하며 감정의 결을 담아내는 글이나 통통 튀는 메세지를 강조하기 좋은, 시적 정서를 담은 구조적 실험 글꼴입니다. 꾹꾹 눌러 접은 진심 어린 마음을, 별모아에 가득 담아 전해보세요.
1.2
숲(Forest)은 지구 생태계의 중요한 부분으로, 우리 삶과 환경에 깊은 영향을 미칩니다. 이곳은 수많은 동식물의 서식지일 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숲의 역할과 중요성을 이해하는 것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먼저, 숲은 산소를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나무와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여 대기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또한, 숲은 탄소를 저장하여 기후 변화 완화에도 기여합니다. 대기 중 온실가스를 흡수하여 지구 온난화를 늦추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숲은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지이기도 합니다. 열대우림부터 온대림, 침엽수림까지 각각의 숲은 고유한 생태계를 형성하며, 수많은 동식물이 이곳에서 살아갑니다. 이러한 생물다양성은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고 환경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숲은 식량, 의약품, 목재와 같은 자원을 제공하여 인간의 삶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5
We conceive typefaces with two very different approaches. Our first approach is achieved by digging into history. We then mix these sources and our own sketches into new shapes. We make those live between time and cultural expressions. The second one consists of creating a product with clear end usages in mind. Whether we create fonts for motion, interactive design, or print, we explore the full potential in each of these design worlds.
1.2
헨리 간이식당의 문이 열리고 두 남자가 들어왔다. 그들은 카운터에 앉았다. “뭐로 하시겠습니까?” 조지가 그들에게 물었다. “모르겠는데.” 한 남자가 말했다. “뭐 먹고 싶어, 앨?” “모르겠는데.” 앨이 말했다. “뭘 먹고 싶은지 모르겠어.” 밖은 어두워지고 있었다. 창밖의 가로등에 불이 들어왔다. 카운터에 앉은 두 남자는 메뉴판을 보았다. 닉 애덤스는 카운터의 다른 쪽 끝에서 그들을 지켜보았다. 그들이 들어왔을 때 그는 조지와 이야기를 나누던 중이었다. “나는 사과소스와 으깬 감자를 곁들인 돼지고기 안심 구이.” 첫번째 남자가 말했다.
1.5
We conceive typefaces with two very different approaches. Our first approach is achieved by digging into history. We then mix these sources and our own sketches into new shapes. We make those live between time and cultural expressions. The second one consists of creating a product with clear end usages in mind. Whether we create fonts for motion, interactive design, or print, we explore the full potential in each of these design worlds.
1.2
We conceive typefaces with two very different approaches. Our first approach is achieved by digging into history. We then mix these sources and our own sketches into new shapes. We make those live between time and cultural expressions. The second one consists of creating a product with clear end usages in mind. Whether we create fonts for motion, interactive design, or print, we explore the full potential in each of these design worlds.
1.3
아카시아꽃도 첨 보는 꽃이려니와 서울 아이들도 자연에서 곧장 먹을 걸 취한다는 걸 알게 된 것도 그 꽃을 통해서였다. 잘 먹은 아이는 송이째 들고 포도송이에서 포도을 따먹듯이 차례차례 맛있게 먹어 들어 갔다. 나도 누가 볼세라 몰래 그 꽃을 한 송이 먹어 보았더니 비릿하고 들척지근했다. 그리고는 헛구역질이 났다. 무언가로 입가심을 해야 들뜬 비위가 가라앉을 것 같았다. 나는 불현듯 싱아가 생각났다. 우리 시골에선 싱아도 달개비만큼이나 흔한 풀이었다. 산기슭이나 길가 아무데나 있었다. 그 줄기에는 마디가 있고, 찔레꽃 필 무렵 줄기가 가장 살이 오르고 연했다. 발그스름한 줄기를 꺾어서 겉껍질을 길이로 벗겨 내고 속살을 먹으면 새콤달콤했다. 입안에 군침이 돌게 신맛이, 아카시아꽃으로 상한 비위를 가라앉히는 데만 그만일 것 같았다. 나는 마치 상처난 몸에 붙일 약초를 찾는 짐승처럼 조급하고도 간절하게 산 속을 찾아 헤맸지만 싱아는 한 포기도 없었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1.4
지금까지 발견된 사례 중 가장 금속 함유량이 적은 별은 HE1327-2326으로 이 별의 중원소 함유비는 태양의 20만 분의 1에 불과하다. 반대로 사자자리 뮤의 중원소 함유율은 태양의 두 배에 이르며 행성을 거느린 허큘리스자리 14의 경우 중원소 비율이 세 배에 이른다. 크로뮴이나 희토류 원소와 같이 화학적 특이성을 보여 스펙트럼상 평범하지 않은 원소가 많이 함유된 경우도 존재한다.
1.3
두부는 콩으로 만든 식품의 한 가지로 은은한 향이 있어 고소하고 달콤한 요리에 활용하기 좋다. 요리와 맛에 맞게 양념하거나 재워두는 경우가 많으며, 쫄깃한 식감으로 인해 맛을 잘 흡수한다. 이는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요리의 전통적인 구성 요소이며 중국에서는 2,000년 이상 소비되어 왔다. 현대 서양 요리에서는 고기 대용품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영양학적으로 두부는 칼로리가 낮으면서도 단백질 함량이 비교적 높다. 철 함량이 높으며 제조에 사용되는 응고제(예: 염화칼슘,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에 따라 칼슘 또는 마그네슘 함량이 높을 수 있다.
1.3
Amorphous, Fluid, Organic, Undefined, Boundless, Seamless, Formless, Unstructured, Shapeless, Mutable, Ethereal, Weightless, Abstract, Elusive, Flowing, Irregular, Asymmetrical, Freeform, Evolving, Expanding, Drifting, Soft-edged, Ever-changing, Indeterminate, Unconfined, Borderless, Continuous, Non-linear, Adaptive, Spectral, Dynamic, Nebulous
1.6
믹소그라피아(Mixography)는 입체감을 강조한 현대 판화 기법으로, 전통적인 평면 판화 기법과는 달리, 물리적인 질감과 깊이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기법은 실크스크린, 리소그래피와 같은 평면 인쇄 기술을 사용하면서도, 섬세한 질감을 형성하여 종이에 입체적인 느낌을 주는 특징이 있습니다. 믹소그라피아는 잉크의 두께와 압력의 차이를 이용해 표면의 높낮이나 질감을 변화시키며, 시각적으로뿐만 아니라 촉각적으로도 독특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작품은 더욱 입체적이고 생동감 있는 인상을 남깁니다.
1.6
아시아 문화권의 전통적인 용은 사슴의 뿔에 뱀의 몸이고 비늘은 물고기의 모습을, 귀는 소의 형태이다. 이때 모사되는 용은 주로 여의주를 물고 있는데, 현대로 넘어오며 생략되는 일이 잦아졌다. 용은 보통 왕을 상징한다. 또한 용이 되지 못한 뱀을 '이무기'라 칭하며 일본에선 용이 되지 못한 물고기를 '용어'라 칭하기도 한다
1.3
Clay comes together, fire passes through, and ceramics take shape. At first, it's just soft, shapeless clay, but over time, it settles into a solid form—just like a well-designed letter. For a letter to stand properly, balance is everything. If the center of gravity is off, it wobbles, tilts, and eventually topples over. But NU Plumb is different.
1.6
We conceive typefaces with two very different approaches. Our first approach is achieved by digging into history. We then mix these sources and our own sketches into new shapes. We make those live between time and cultural expressions. The second one consists of creating a product with clear end usages in mind. Whether we create fonts for motion, interactive design, or print, we explore the full potential in each of these design worlds.
1.2
르네상스 또는 문예 부흥, 학예 부흥은 유럽 문명사에서 14세기부터 16세기 사이 일어난 문예 부흥 또는 문화 혁신 운동을 말한다. 과학 혁명의 토대가 만들어져 중세를 근세와 이어주는 시기가 되었다. 여기서 문예부흥이란 구체적으로 14세기에서 시작하여 16세기 말에 유럽에서 일어난 문화, 예술 전반에 걸친 고대 그리스와 로마 문명의 재인식과 재수용을 의미한다. 옛 그리스와 로마의 문학, 사상, 예술을 본받아 인간 중심의 정신을 되살리려 하였다. 이 점에서 르네상스는 일종의 시대적 정신운동이라고 말할 수 있다.
1.5
맥스웰 방정식은 갈릴레이 뉴턴의 상대성원리를 만족하지 않았고 이는 물리학의 난제였다. 이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던 중, 아인슈타인은 맥스웰의 전자기학 이론과 에테르에 대한 증거 부족에 동기부여를 받아 특수 상대성 이론을 정립했다. 특수상대성 이론은 불명확했던 전자기 이론들을 명확하게 하였다.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은 빛의 속력 불변의 원리를 바탕으로 상대방에 대해 등속으로 움직이는 두 개의 기준틀에서 고전 전자기법칙이 변하지 않고 유지되는 새로운 시공간 개념을 제시한다. 모든 관성좌표계에서 빛의 속력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서로 다른 속도를 가진 관성좌표계에서 자연법칙은 동일한 형태로 기술될 수 있다.
1.3
가을에는 무엇보다도 제일 좋은 것이 달 밝은 것입니다. 일 년 중에 가을달처럼 맑고 서늘한 달은 다시 없습니다. 음력으로 구월 보름께쯤 저녁을 일찍 먹고 나서 자기 집에 있는 과실을 밤이든지 배든지 포도든지 감이든지 조금만 싸 가지고 약속한 시간에 뒷동산이나, 앞뜰이나, 모이자 한 곳으로 모입니다. 그 자리에는 단풍나무에 에워싸였거나 그렇지 않으면 다른 무엇에 에워싸인 조그마한 편편한 마당입니다.(집에서 가까운 곳은 재미 없습니다.) 그 조그만 마당에 미리 준비여 손바닥만 하게 좁다랗고 손으로 두 뼘 만하게 길쭉하게 종이를 오려서, 그 종이에 울긋불긋하게 물감칠(잉크 칠을 조금씩 하여도 좋습니다.)을 하고 그 위에 먹으로 ‘가을 놀이’, ‘달맞이’ 혹은 ‘달과 같이 둥글게’라 하든지 혹은 ‘달과 같이 맑게’라 하든지, 자기 마음에 좋다고 생각하는 글귀를 씁니다.
1.6
나는 어린 왕자가 철새들의 이동을 이용하여 그의 별을 떠났으리라 생각한다. 떠나는 날 아침 그는 자기의 별을 깨끗이 정돈해 놓았다. 불을 뿜은 화산들을 정성들여 소재했다. 그에게는 불을 뿜는 화산이 둘 있었다. 그런데 그것은 아침밥을 데우는 데 아주 편리했다. 불이 꺼져 있는 화산도 하나 있었다. 그러나 그의 말처럼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는 일이야." 그는 그래서 불 꺼진 화산도 똑같이 소재했다. 화산들은 청소가 잘 되어 있을때는 부드럽게, 규칙적으로 폭발하지 않고 타오른다. 화산의 폭발은 벽난로의 불과 마찬가지인 것이다.
1.5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가을로 가득 차 있습니다. 나는 아무 걱정도 없이 가을 속의 별들을 다 헤일 듯합니다. 가슴속에 하나 둘 새겨지는 별을 이제 다 못 헤는 것은 쉬이 아침이 오는 까닭이요, 내일 밤이 남은 까닭이요, 아직 나의 청춘이 다하지 않은 까닭입니다. 별 하나에 추억과 별 하나에 사랑과 별 하나에 쓸쓸함과 별 하나에 동경과 별 하나에 시와 별 하나에 어머니, 어머니, 강아지, 토끼, 노새, 노루, 프랑시스 잠, 라이넬 마리아 릴케 이런 시인의 이름을 불러 봅니다. 이네들은 너무나 멀리 있습니다. 별이 아슬히 멀 듯이, 어머님, 그리고 당신은 멀리 북간도에 계십니다. 나는 무엇인지 그리워 이 많은 별빛이 나린 언덕 위에 내 이름자를 써 보고, 흙으로 덮어 버리었습니다. 딴은 밤을 새워 우는 벌레는 부끄러운 이름을 슬퍼하는 까닭입니다. 그러나 겨울이 지나고 나의 별에도 봄이 오면 무덤 위에 파란 잔디가 피어나듯이 내 이름자 묻힌 언덕 위에도 자랑처럼 풀이 무성할 게외다.
1.6
難道是爲了迎接那無數個美的星星我才會墜落的嗎。 想聽聽你的旋律你銀河里的星星是如何綉你的天空的。 就算是走錯路落下的傷疤那也是我的星座。 昨日今日明日的我每一個都是一不可的我。 像樣獨自歌唱如同孤島的我也能發光發嗎再一次樣歌唱吧 無回答的首歌知道明天傳達到的那刻為止無休止的電波中總有一天會傳送出去是直到地球一邊。
1.1
범나비의 조형 요소는 반흘림궁체를 쓸 때의 모습을 관찰하고 필법을 차용해 디자인했습니다. 범나비는 기본적으로 같은 두께의 획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일부 요소에서는 붓의 흐름과 강약이 느껴지도록 구성했습니다. 가로/세로획 시작 부분은 부리가 생략되었지만, 붓이 만들어 내는 자연스러운 각도를 명확히 표현하고 있습니다. 가로획 맺음은 붓을 눌러 마무리한 형태로 살짝 통통해지며 마름모꼴로 마무리됩니다. 세로획 맺음은 궁체 필법에 영향을 받아 좌측라인을 따라서 뾰족하게 마무리되는 형태입니다. 시옷꼴에서는 붓을 떼고 새로 쓰면서 획이 가늘어진 흔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역꼴은 위로 치켜 쓴 형태로 시작해, 획 두께를 유지하며 뾰족하게 마무리되는 형태입니다. 붓으로 반듯한 정원의 이응꼴을 그리기는 쉽지 않습니다. 여러 이응꼴을 확인하고 직접 그려보며, 반듯하게 그리려 애쓴 형태의 이응꼴을 만들었습니다.
1.5
하바네라(Habanera)는 쿠바의 리듬과 스페인 음악 전통이 융합된 독특한 음악 양식으로, 19세기 후반부터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아 왔습니다. 이 장르는 느긋하면서도 리듬감 있는 2/4 박자를 기반으로, 강렬한 반복과 섬세한 멜로디의 조화가 특징입니다. 하바네라는 원래 아프로-쿠반 댄스 음악에서 기원했으며, 유럽으로 전파된 후 클래식 음악과 오페라에서도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비제(Georges Bizet)의 오페라 카르멘의 유명한 아리아 ‘하바네라’는 이 장르의 매력을 집약적으로 보여줍니다. 하바네라의 리듬은 단순한 반복을 넘어서, 미묘한 긴장감과 유려한 흐름을 만들어내어 듣는 이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몸을 흔들게 합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하바네라는 시대와 문화를 초월해 다양한 음악 장르에 영향을 주었으며, 오늘날까지도 재즈, 탱고, 팝 음악 등에서 그 흔적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1.5
Italy, officially the Italian Republic or Republic of Italy, has an estimated 100,000 monuments of any sort (museums, palaces, buildings, statues, churches, art galleries, villas, fountains, historic houses and archaeological remains), and according to some estimates the nation is home to half the world’s greatest art treasures.
1.2
“예술의 세계처럼 나이가 숫자에 불과한 분야도 드물다. 나이가 인간을 매료시키는 ‘반짝반짝한 그 무엇’을 선사하진 않는다. 좀더 잔인하게 이야기하자면, 오손 웰즈의 영화 〈시민 케인〉에 나오는 말처럼 ‘Some people can sing, others can’t.’인 것이다. 결국 언젠가 그녀의 힘으로 80년생, 그리고 최연소 작가 무엇이라는 수식어를 떼버리거나 무력화시킬 날이 올 것이다. 나이와 성별이 그녀의 재능을 만든 것이 결코 아니므로.”
1.6
We conceive typefaces with two very different approaches. Our first approach is achieved by digging into history. We then mix these sources and our own sketches into new shapes. We make those live between time and cultural expressions. The second one consists of creating a product with clear end usages in mind. Whether we create fonts for motion, interactive design, or print, we explore the full potential in each of these design worlds.
1.3
“사람의 생명, 강인한 기원을 투영하지 않는 한 사람들에게 진정한 감동을 주는 건축물은 태어날 수 없다. 사람의 온기,생명을 작품 밑바탕에 두는 일. 그 지역의 전통과 문맥, 에센스를 어떻게 감지하고 앞으로 만들어질 건축물에 어떻게 담아낼 것인가? 그리고 중요한 것은 그 땅의 지형과 ‘바람의 노래’가 들려주는 언어를 듣는 일이다.”
1.5
마침 언덕 너머로 아가의 오빠가 뛰어왔습니다. 그리고 아가의 손에 뭐를 가진 것을 보고 “너 그게 뭐냐?” 하고 물었습니다. “몰라 오빠 이게 무슨 나비야?” 하고 아가는 꿀벌을 높이 들어 보였습니다. “그게 벌이다. 벌이야! 침으로 쏘면 큰일난다. 어서 버려라, 어서!”하고 오빠가 소리쳤습니다. “에구머니나!” 아가는 질겁을 하여 꿀벌을 놓아주었습니다.
1.3
‘선물(Present)’은 언제나 잊지 않고 돌아와주는 겨울을 기다리는 마음을 담아 제작된, 따뜻하고 포근한 감성의 글꼴입니다. 각 픽셀 컴포넌트는 단순한 점이 아닌 니트의 짜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서툴러도 정성스럽게, 투박하더라도 애정을 담아 떠내려간 목도리를 떠올리게 합니다. 글자의 세로 인상과 자연스레 길어지는 단락은 마음을 덧댈수록 길어지는 목도리처럼 커져만 가는 사랑의 무게를 닮아 있습니다. 총 11,172자의 한글 글리프와 52자의 로마자, 182자의 기호 활자를 지원하며, 눈사람과 크리스마스트리 등 ‘선물(Present)’만의 특별한 기호 활자들이 곳곳에 숨겨져 있습니다. 정성과 애정을 꾹꾹 눌러 담아 전하고 싶은 마음이 있다면 ‘선물(Present)’을 통해 그 진심을 건네보세요.
1.5
토씨는 씨앗의 모양을 닮은 좁고 긴 탈네모틀 서체입니다. 글줄 흐름선이 중앙에 위치하고 있어, 글자를 지면에 심으면 오르락 내리락 자라나는 듯한 모양이 됩니다. 여러 모임꼴이 섞여있는 글자를 쓸 때 글줄의 형태가 특히 매력적입니다. 획의 동그란 끝에서 온화하고 따뜻한 인상이 느껴지고, 분절된 형태는 리듬감을 만들어냅니다. 촘촘하게 심은 씨앗을 떠올리며, 글자 형태에 따라 폭이 다르게 설계하였습니다. 한글 11,172자, 라틴 베이직 52자, 기타 기호 활자 160자를 지원합니다.
1.5
We conceive typefaces with two very different approaches. Our first approach is achieved by digging into history. We then mix these sources and our own sketches into new shapes. We make those live between time and cultural expressions. The second one consists of creating a product with clear end usages in mind. Whether we create fonts for motion, interactive design, or print, we explore the full potential in each of these design worlds.
1.2

agfont@ag.co.kr
031-955-7767 
경기 파주시 회동길 125-15, 2층

상호: (주)안그라픽스
대표명: 안미르, 안마노, 오진경
사업자등록번호: 209-81-15114
통신판매등록: 2018-경기파주-1393호

웹 디자인 & 개발
일상의실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