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계 부담 없이 사명감만으로 일에 전념할 수 있게끔 하는 환경이 없으니 무턱대고 이 일을 하라고 권유할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그는 한글의 발전을 위해서 글꼴 개발에 힘을 쏟는 사람들이 생계의 부담 없이 일에 전념할 수 있게끔 국가의 정책적 배려가 있어야 한다고 말하곤 했다. [한글 디자이너 최정호]
AG 최정호체 Std.
AG Choijeongho Std.
〈Choijeongho〉, designed by Hangeul type designer Choi Jeongho, is a Serif typeface. The design was requested by Ahn Sang–soo in 1988 and turned out to be the posthumous original drawings by Choi Jeong–ho. At the time, the typeface was unnamed. Despite the fact that Choi had designed numerous typefaces, there was not a typeface named after him. Thus this last work was named Choijeongho after the designer. The condensed style, which was distinctive from the type style then, is the characteristics of 〈Choijeongho〉. The large consonants and counter spaces make the letters appear larger. The large serifs and sharp stroke ends make the type appear visually strong although it is a brush–oriented text typeface. 〈AG Choijeongho〉 is a digital typeface developed based on the original drawings of 1,296 Hangeul letters of 〈Choijeongho〉. It is developed in two versions; The first is Std.version which is composed of 2,574—Hangeul letters, 296—Roman Alphabets and extended Roman Alphabets, and 776—symbols including punctuations.
한글은 정체로 써놓아도 장체가 됨을 깨달았다. 그자를 약간 크게 보이게 하려면 조금 평체로 해두는 것이 좋다. 「조선일보」에 쓰이는 글씨체를 보면 쉽게 납득이 갈 것이다. 횡서의 경우 한글은 그 중심의 흐름이 매우 불규칙하다. 즉 “ᅳㅡ”의 경우 “그”에서와 “글”에서는 그 높 이가 동일하지 않아 전체적으로 볼 때 옆줄이 흐트러진다는 말이다. 따라서 횡조에 있어서 중심선을 맞춘다 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왜냐하면 글자가 지니고 있는 개성을 희생시키기 때문이다. 받침이 없는 글자는 적게 보이며 받침이 있는 글자는 중간이고, 쌍받침이 있는 글자는 커 보인다. 예를 들면 “끓” “옳”자를 “가”자와 동등한 조건으로 위치시킨다면 받침이 있는 글씨가 커 보인다는 말이다. 따 라서 쌍받침의 글씨에서는 전체적인 밸런스르 위해서 받침의 비중을 줄여서 썼더니 균형있게 조화를 이루었 다. 한자에서 좌우 동형일때는 오른쪽을 키우고, 상하 동형일때는 아랫쪽을 키운다는 서법의 원리가 있다. 이는 한글에도 적용될 수 이는 좋은 법칙이다. “ᄈㅃ”이나 “ᄅᆯㄹ”의 경우 오른쪽을 왼쪽보다 크게하고 아래를 위보다 크게 하였다. 그래서 “를”의 경우 위의 “ᄅᆯㄹ”보다 아래의 “ᄅᆯㄹ”을 크게 하였다. 언뜻 보아서는 잘 모르지만 위 아래를 분명히 식별하려면 뒤 집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나는 이 분야에 손을 대기 시작했을 무렵 여러 난관에 부딪쳤다. 이렇다 할 스승도 없었고 특별한 참고 서적도 없었음은 물론이다. 나의 이런 전철이 나와 같은 길을 걷고자 하는 젊은이에게도 똑같이 되풀이되기를 원하지 않기 때문에 그들에게 작은 길잡이가 되고플 따름이다. 나보다 훨씬 유능한 젊은 디자이너가 더 아름답고 세련된 한글을 만들어주기를 바라면서 두서없는 졸문을 적는다.” [나의 경험, 나의 시도]
- Windows XP 이상
- Mac OS X 10.6 (Snow Leopard) 이상
Hard disk 50MB
Latin 414 letters
Symbol 972 letters
Not available on all softwares that does not support OTF.
Kerning is not supported on any software that supports OTF but does not support open-type functionality.
- 출판물 - 도서, 정기간행물 등의 본문 및 제호
- 광고물 - 신문광고, 잡지광고, 지면광고 등
- 기타 - 브로슈어, 카달로그, DM, 전단, 포스터, 캘린더, 매뉴얼 등
- (CI, BI 등 로고타입, 제호, 온라인 임베딩용 제외)
- 전시용 커팅시트
- 웹 이미지 제작 시
- 웹 디자인 - 웹 이미지, 웹 배너 광고, 이메일 등
- 기타 - 웹툰, e-카탈로그, 전자브로슈어, 뉴스레터, 기존 출판물 업로드(PDF) 등 (로고타입 제외)
-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이미지
- 일반 문서 작성
- 간판에 사용되는 글자만 아웃라인으로 판매
- 옥외 설치물, 광고물(표지판, 안내판) 패키지 등
- 한글 자소 활용 제품 - 티셔츠, 스탬프, 열쇠고리, 머그잔, 스티커,생활용품, 문구류
- 온라인 판매용 2차 제작 결과물 - 웹용 스킨, 메뉴바 등
- 모든 영상의 자막 및 그래픽에 사용될 때
- 방송 관련 - 지상파, 케이블, DMB, 위성방송, 지하철방송, 인터넷방송 등
- 영화 관련 - 영화 본편, 영화 예고편, 애니메이션, DVD, 비디오 등
- e-Learning 콘텐츠 - 동영상 강좌, 플래시 강좌 등
- 기타 - TV-CF, 뮤직비디오, 홍보 동영상, 전시 동영상, 온라인 동영상 등
- 회사명, 브랜드명, 상품명, 로고타입, 마크
- 도서, 잡지, 신문, 만화책, 보고서 등 e-Book 콘텐츠 (e-pub) 등으로 제작
- 애플리케이션 UI 및 임베딩용
- 게임 관련 기기(온라인게임, 모바일게임, 비디오게임) 탑재 및 패키지, 콘솔, 아케이드 등의 제작
- 가전기기, 통신기기, MP3플레이어, PMP, 프린터기, 전자사전, 셋톱박스, 홈네트워크시스템, 내비게이션 및 하이패스 기기 등과 각종 디바이스에 탑재하는 경우
- 웹UI 및 웹 서버용 폰트로 사용하는 경우
- 폰트 파일을 탑재하거나 서버를 통해 공유하는 서비스의 경우 전광판 및 안내시스템기기(시스템), ATM기기 및 자동화시스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