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켈세리프 패밀리

Dunkel Serif Family

둥켈세리프는 획이 굵고, 대비가 커서 눈에 띄는 디자인의 글자체입니다. 가는 획이 단단해서 작은 크기에서도 비슷한 계열의 다른 글꼴보다 잘 보이며 견고한 텍스트 질감을 갖고 있습니다. 눈길을 끄는 디자인의 둥켈세리프 디스플레이는 “둥켈세리프”보다 획 대비가 커서 날카로운 획의 형태가 눈에 띄는 디자인의 글자체입니다. 또한 속공간이 커서 강하고 단단한 이미지를 갖고 있습니다. 가는 획이 잘 보이는 정도의 크기로 사용하시기를 추천합니다. 둥켈세리프의 라틴은 함민주가 시작하고 마크 프롬베르크가 다듬어 완성했습니다. 포스터, 책, 썸네일 제목, 패키지 디자인 등에 사용해 보시길 추천합니다.

둥켈세리프 패밀리 Condensed
Font Size
Line Height
Letter Spacing

별의 분광형 및 밝기, 우주 공간에서의 고유 운동을 통하여 항성의 질량과 나이, 화학적 조성 등을 알아낼 수 있다.

둥켈세리프 패밀리 Expanded
Font Size
Line Height
Letter Spacing

이 중에서도 질량은 그 항성의 진화 및 운명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이다. 질량 외에도 항성의 특징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진화 과정과 반지름, 자전 주기, 고유 운동, 표면 온도 등이 있다.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는 밝기와 표면 온도를 기준으로 항성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도표를 통해 특정 항성의 나이 및 진화 단계를 알 수 있다. 항성은 수소 및 헬륨, 기타 중원소로 이루어진 성간 구름이 붕괴하면서 탄생한다. 중심핵이 충분히 뜨거워지면 수소 중 일부가 핵융합 작용을 통하여 헬륨으로 전환되기 시작한다.

둥켈세리프 패밀리 Medium
Font Size
Line Height
Letter Spacing

1915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을 고안하여 중력이 빛의 운동에 영향을 미침을 보였다. 불과 몇 개월 뒤, 카를 슈바르츠실트가 점질량과 구질량의 중력장을 기술하는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해를 구하였다(슈바르츠실트 계량). 슈바르츠실트로부터 또 몇 개월 뒤, 헨드릭 로런츠의 지도학생인 요하네스 드로스터가 슈바르츠실트와 독립적으로 점질량에 대한 동일한 해를 구하였고, 그 성질을 보다 광범하게 기술하였다. 이 해는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일부 항이 무한대가 되는 중력 특이점을 가지는 특이행동을 보이는데, 이것을 오늘날 슈바르츠실트 반경이라고 부른다. 이때까지만 해도 이 표면의 성질은 확실하게 이해되지 않았다. 1924년, 아서 스탠리 에딩턴이 좌표계의 수정을 통해(에딩턴-핀켈스타인 좌표계) 중력 특이점을 없앨 수 있음을 보였으나, 슈바르츠실트 반경의 특이점이 비물리적 좌표 특이점이라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은 1933년에야 조르주 르메트르가 밝혀내었다.

글꼴 가족
둥켈세리프 패밀리 | Medium 모진 바람 5월 꽃봉오리 떨구고
둥켈세리프 패밀리 | Condensed 모진 바람 5월 꽃봉오리 떨구고
둥켈세리프 패밀리 | Expanded 모진 바람 5월 꽃봉오리 떨구고
글리프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1
2
3
4
5
6
7
8
9
0
~
!
@
#
$
%
^
&
*
(
)
_
+
{
}
|
:
"
<
>
?
-
=
[
]
\
;
'
.
/
글꼴 정보
사용권장 OS
  • Windows XP 이상
  • Mac OS X 10.6 (Snow Leopard) 이상
글꼴 포맷
OTF (매킨토시용/윈도우용, 유니코드 지원)
글꼴 구성
한글 2,780자, 라틴 226자, 숫자 10자, 문장 부호 64자, 심볼 및 기타 109자
글꼴 버전 업데이트 시 알림 메일이 발송됩니다.
제품 특징
*글꼴 사용 전 사용설명서(pdf)를 읽어주세요.
*문의: 함민주 minjoohahm@gmail.com
사용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