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철학자이며 수학자인 르네 데카르트는 맨눈으로 관찰한 눈의 결정을 스케치하고 서술해 ‘기상학’지에 1637년 처음으로 발표했습니다. 그 뒤 많은 과학자들이 눈의 결정에 흥미를 가지고 연구했으며 17세기 후반에는 현미경이 발명되어 눈 결정 연구에 많은 진전을 거두었습니다. 영국의 로버트 훅은〈마이크로그라피아Micrographia〉에 현미경으로 관찰한 눈 결정 그림을 실었습니다. 1665년 발간한 이 책은 과학 서적 중 최초의 베스트셀러였으며,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의 그림을 통해 사람들은 눈 결정이 얼마나 복잡하면서 아름다운 모습인지 알게 되었습니다.
본본
Bonebone
본본은 곡선 없이 직선으로만 이루어진 글꼴입니다. 하늘에서 내리는 눈의 결정을 떠올려 보세요. 뾰족하게 각진 도형의 연속으로, 굳이 따지자면 차가운 인상 쪽에 가깝습니다. 다음으로 소복이 쌓인 눈밭을 떠올려 보세요. 둥그런 눈사람도요. 춥고 시리지만 어쩐지 포근한 풍경, 다소 역설적인 풍경입니다. 본본은 이런 풍경과 비슷한 글꼴입니다. 아주 크게 혹은 작게 썼을 때의 느낌이 각각 다르게 다가오고, 특히 작은 크기의 글 무더기로 구성했을 때의 오밀조밀함이 매력적입니다. 그렇지만 글꼴은 사용하는 이의 의도와 해석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의 맛대로 멋대로 본본을 사용해 보세요.
기상 현상중 하나인 눈(Snow)은 수증기를 많이 포함하는 공기가 상승해 냉각되고 과포화된 수증기가 응결핵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결정이 떨어져 내리는 것입니다. 최상부 온도가 0℃ 보다 낮은 구름 높이에 따라 다양한 온도 분포를 갖고 있는데 -20℃ 이하 층에서는 빙정(Ice crystal)만 존재하고 이와 함께 눈 결정이 되기 직전인 과냉각된 물방울이 함께 존재합니다. 과냉각된 물방울이 충돌하면서 성장하고, 기온과 습도의 영향을 받으면서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눈 결정을 만들어 냅니다. 눈 결정은 3차원의 복잡한 구조를 보입니다. 별 모양의 눈 결정은 작은 육각형 판의 형성으로 시작하고 크기가 커지면 6개의 모서리에서 잔가지가 나오며, 구름 속에서 온·습도가 변하는 것을 거치며 신비롭고 다양한 모양이 만들어집니다. 이 모양은 구름을 통과하는 경로에 의해 결정됩니다. 떨어지면서 주변의 물 분자들이 달라붙게 되어 주변의 습도는 낮아집니다. 이런 습도의 차이로 바깥쪽 물 분자가 빠르게 확산되고, 특히 육각 모서리 쪽이 더 빨리 자라 가지가 뻗게 되는 것입니다. 한 결정 안에서는 거리에 따라 습도의 차이가 생기므로 환경도 비슷해 여섯 개의 팔이 동시적으로 성장하여 복잡하면서도 대칭적인 모양을 만듭니다.
프랑스의 철학자이며 수학자인 르네 데카르트는 맨눈으로 관찰한 눈의 결정을 스케치하고 서술해 ‘기상학’지에 1637년 처음으로 발표했습니다. 그 뒤 많은 과학자들이 눈의 결정에 흥미를 가지고 연구했으며 17세기 후반에는 현미경이 발명되어 눈 결정 연구에 많은 진전을 거두었습니다. 영국의 로버트 훅은〈마이크로그라피아Micrographia〉에 현미경으로 관찰한 눈 결정 그림을 실었습니다. 1665년 발간한 이 책은 과학 서적 중 최초의 베스트셀러였으며,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의 그림을 통해 사람들은 눈 결정이 얼마나 복잡하면서 아름다운 모습인지 알게 되었습니다.
- Windows XP 이상
- Mac OS X 10.6 (Snow Leopard) 이상
라틴 알파벳 및 숫자 62자
문장부호, 수학기호, 통화기호, 괄호 등 약물 310자
boomipark8@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