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마모아

Umamor

*이 폰트는 한글과 문장부호, 숫자만 지원하는 폰트입니다. “우마모아”는 싱싱하고 풍성한 이미지를 글자에 담은 글꼴입니다. 타원형의 ‘ㅇ’ 와 기울어진 속공간이 독특하며 특징적입니다. 획의 시작과 끝의 형태는 잉크가 가득 머금은 붓으로 그린 느낌을 표현했습니다.  ‘ㅁ’과 같은 글자의 모서리 부분에는 뭉치지 않도록 잉크트랩 형태를 활용해 재미있는 질감을 표현했습니다. 2021년 전용서체를 위해 제작된 제목용 서체입니다. 독점 라이센스 기간이 종료하여 개인 라이브러리에 추가하게 되었습니다.

우마모아 ExtraBold
Font Size
Line Height
Letter Spacing

콩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비발효 식품에는 두유와 두부 껍질을 만드는 두유가 포함된다. 발효 콩 식품에는 간장, 발효 된장, 낫토, 템페 등이 있다. 무지방 대두박은 동물 사료와 많은 포장 식사에 사용되는 중요하고 저렴한 단백질 공급원이다. 예를 들어, 질감 식물성 단백질와 같은 대두 제품은 많은 육류 및 유제품 대체품의 성분이다.

우마모아 Regular
Font Size
Line Height
Letter Spacing

과학자들은 감칠맛이 실제로 기본 맛 중 하나에 해당하는지 오랫동안 논쟁했다. 감칠맛은 우리나라 옛 조상 때부터 음식이 맛이 있을 때 사용됐던 언어로써 ‘입에 착 달라붙는 맛 있다’라는 의미로 쓰여져 왔다. 단맛도, 매운맛도, 신맛도, 쓴맛도 아니지만 맛있는 맛, 이 맛을 표현하는데 쓰던 언어이다. 그러나 1985년 하와이에서 개최된 제1회 우마미 국제 심포지엄에서 감칠맛이라는 용어가 글루타메이트와 뉴클레오타이드의 맛을 나타내는 과학 용어로 공인되었다. 현재 감칠맛은 제5의 기본 맛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감칠맛은 오랫동안 지속되는 혀를 덮는 듯한 “육수” 또는 “고기” 맛으로, 군침이 돌게 한다. 감칠맛은 인간과 동물의 혀에 있는 특수 수용체 세포에서 글루타메이트의 카복실레이트 음이온을 감지할 때 느껴지는 미각이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맛의 균형을 유지하고 요리의 전체 맛을 완성한다. 감칠맛은 광범위한 음식의 맛을 확실히 높인다. 산성형 글루타메이트는 감칠맛을 거의 내지 않는다. 반면에, 글루타메이트의 염은 쉽게 이온화되어 독특한 감칠맛을 낸다. 감칠맛은 순하지만 오래 지속되는 뒷맛이 있는데 이를 설명하는 것은 쉽지 않다. 감칠맛은 군침을 돌게 하고 혀가 모피로 덮인 듯한 느낌이 들게 하고 목구멍과 입천장과 입의 안쪽을 자극한다. 감칠맛은 광범위한 음식에 독특한 맛이 나게 한다. 특히 어울리는 향이 있는 경우에 더욱 그렇다. 그러나 수크로스를 제외 다른 기본 맛과 마찬가지로 감칠맛은 비교적 매우 좁은 농도 범위 내에서만 맛을 낸다. 또한 최적의 감칠맛은 염분의 양에 따라 다르며, 저염식은 적당량으로 만족스러운 맛을 유지할 수 있다. 노인과 같은 일부 인구 집단은 약물과 고령으로 미각과 후각 기능이 손상되었기 때문에 감칠맛의 덕을 볼 수 있다. 미각과 후각을 잃은 경우 영양 상태가 나빠져 질병에 걸릴 위험이 높다.

글꼴 가족
우마모아 | ExtraBold 모진 바람 5월 꽃봉오리 떨구고
글리프
1
2
3
4
5
6
7
8
9
0
~
!
@
#
$
%
^
&
*
(
)
_
+
{
}
|
:
"
<
>
?
-
=
[
]
\
;
'
.
/
글꼴 정보
사용권장 OS
  • Windows XP 이상
  • Mac OS X 10.6 (Snow Leopard) 이상
글꼴 포맷
OTF (매킨토시용/윈도우용, 유니코드 지원)
글꼴 구성
한글 2,780자, 숫자 10자, 문장 부호 39자
글꼴 버전 업데이트 시 알림 메일이 발송됩니다.
제품 특징
*글꼴 사용 전 사용설명서(pdf)를 읽어주세요.
*문의: 함민주 minjoohahm@gmail.com
사용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