믹소그라피아(Mixography)는 입체감을 강조한 현대 판화 기법으로, 전통적인 평면 판화 기법과는 달리, 물리적인 질감과 깊이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기법은 실크스크린, 리소그래피와 같은 평면 인쇄 기술을 사용하면서도, 섬세한 질감을 형성하여 종이에 입체적인 느낌을 주는 특징이 있습니다. 믹소그라피아는 잉크의 두께와 압력의 차이를 이용해 표면의 높낮이나 질감을 변화시키며, 시각적으로뿐만 아니라 촉각적으로도 독특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작품은 더욱 입체적이고 생동감 있는 인상을 남깁니다.
NU 묘법
NU Écriture
1집 «유형과 무형» 누타입의 첫 번째 프로젝트로, 만질 수 없는 무형의 것을 유형의 형태—타입으로 풀어내는 시도입니다. 각각 음악, 춤, 미술에서 출발하여 총 3개 패밀리, 6종의 폰트를 제작했습니다. NU 묘법은 믹소그라피아 기법이 활용된 박서보의 작품 「묘법」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한 서체입니다. 믹소그라피아는 현대 판화 기법 중 하나로, 실크스크린이나 리소그래피 등 평면 판화에서는 볼 수 없는 입체감을 가집니다. 글줄에서 흔히 ‘질감’이 느껴진다는 이야기를 하는데, 이 점이 입체감을 가진 동판과 닮았다고 생각했습니다. 평면성과 입체성을 동시에 가지는 믹소그라피아 기법처럼, NU 묘법에서도 상반된 개념이 드러날 수 있도록 다양한 변주를 주어 제작했습니다. Display 스타일에서는 Upright Italic과 흘림의 요소를 차용하여 보다 더 재미있는 질감을 담았습니다.
목판화는 나무판에 그림이나 글씨를 새기고, 잉크를 묻혀 종이에 찍어내는 전통적인 판화 기법입니다. 이 과정에서 나무판의 표면을 깎아내어 양각 또는 음각을 만들어, 인쇄된 이미지는 나무판의 결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독특한 질감을 형성합니다. 목판화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문화에서 활용되어 왔으며, 특히 한국과 일본에서 중요한 예술 기법으로 발전했습니다. 이 기법의 매력은 손으로 직접 작업을 하기 때문에, 매번 미세한 차이가 있는 독특한 작품을 만들어낸다는 점입니다. 목판화는 그 자체로 깊이와 질감을 강조하며, 전통적인 인쇄물의 아름다움을 보여줍니다.
동판화는 구리판에 그림이나 글씨를 새겨 잉크를 묻힌 후 종이에 찍어내는 판화 기법입니다. 이 기법은 금속판의 표면을 부식시켜 음각을 만들고, 그곳에 잉크를 채운 뒤 압력을 가해 이미지를 출력합니다. 동판화의 특징은 세밀한 선과 뚜렷한 대비를 통해 정밀한 디테일을 표현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금속판의 특성상 다른 판화 기법보다 더 깊은 선을 만들 수 있어, 작품에 입체적인 느낌과 섬세한 텍스처가 강조됩니다. 동판화는 르네상스 시대부터 유럽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섬세하고 정교한 작품을 만들어낼 수 있어 예술적 가치가 높습니다.
- Windows XP 이상
- Mac OS X 10.6 (Snow Leopard) 이상
기본 대/소문자 52자
악센트 대/소문자 205자
리가쳐 5자
숫자 10자
문장부호/심볼 373자
nutype.info@gmail.com